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주식에서 PER의 의미를 쉽게 예를 들어서 얘기해 주실 수 있을까요?

오늘 증권 뉴스에서 현대XXX스 PER가 4배 라고 말하며

아직 충분한 매수 시점이라고 얘기를 하는 걸 봣었는데요.

PER라는 것을 좀 더 알기 쉽게 얘기해주실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라고 하는 것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하며, PER을 구하는 방법은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납세후) = 주가 / EPS]로 산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PER값은 해당 기업이 얻은 순이익을 주식 시장에서 얼마의 가치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서 주식가격의 가치가 높을 수록 PER이 높게 나타나며(고평가), 반대로 기업이 얻는 순이익에 비해서 주식가격의 가치가 낮을 수록 PER이 낮게 나타게 됩니다(저펑가).

    PER와 관련해서 해당 기업의 주식이 고평가인지 혹은 저평가인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이야기 드리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PER이 높을수록 해당 주식은 고평가

    • PER이 낮을수록 해당 주식은 저평가

    PER비율에 따른 평가는 업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10을 기준으로 해서 PER이 10보다 높은 경우는 고평가라고 이야기하며, PER이 10보다 낮은 경우는 저평가된 주식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렇기에 질문자님께서 말씀주신 현대XXX이 현재 PER가 4라고 한다면 충분히 추가적인 주가 상승의 여력이 남아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의 경우 당기순이익과 시총의 비율입니다. 예를들어 당기순이익이 1조 / 시가총액이 10조라고 가정할때 per는 바로 10입니다. per가 낮을수록 회사의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