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휴일이당
휴일이당

왜 사람들은 시키는일만 할라고 할까요

안녕하세요. 붉은날다람쥐293 근희입니다. 왜 사람들은 시키는일만 할라고 할까요. 이러한 행동양상을 뇌에서 관장하는걸까요 궁금하여 문의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사람들이 '시키는 일만 하려고 한다'는 행동은 심리학적, 사회적, 뇌 과학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패턴은 여러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요인과 조건화가 큰 역할을 합니다.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학교, 가정, 직장에서 특정한 규칙과 권위 구조 내에서 행동하는 법을 배웁니다. 이러한 구조는 개인에게 명령을 따르고 권위에 복종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편안하다는 메세지를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자발적인 행동보다는 이미 제시된 지시나 규칙에 따르는 것을 선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불확실성을 줄이고, 책임을 덜 느끼게 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더 안정감을 줍니다.
    뇌 과학적 측면에서는 보상 회로(reward system)와 두려움 회로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종종 새로운 일을 시도하거나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것보다, 시키는 일을 따르는 것이 더 안전하고 스트레스가 느낄 수 있습니다. 뇌의 보상 시스템은 사람들에게 기존의 틀 안에서 행동할 때 안전하다는 신호를 보내고, 이로 인해 자율적인 결정보다는 지시에 따르는 것이 더 보상적이라고 느끼게 됩니다. 또한,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는 감정은 편도체(amygdala)에서 처리되며, 이는 불확실성이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자극합니다.

    동기부여의 문제도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외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보다는 내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에 따라 더 자율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조직과 환경은 외적 보상(예: 급여, 승진)과 처벌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사람들은 스스로 동기를 부여받기보다는 주어진 지시에 따르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느낍니다.

    사람들이 시키는 일에만 집중하려는 경향은 사회적 학습, 뇌의 보상 및 두려움 시스템, 그리고 동기부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성향뿐만 아니라,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면서 습득한 행동 패턴이라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새로운 도전이나 자율적인 행동은 불확실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익숙한 일을 반복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또 내적 동기가 부족할 경우, 사람들은 외부의 지시나 요구에 의존하게 됩니다. 이는 자아 효능감의 결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은 종종 익숙한 것에 의존하게 되며, 새로운 것보다는 시키는 일을 하는 것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또한 

     주변 사람들의 기대나 사회적 규범이 개인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드 타인의 기대를 충족시키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효율성을 중시하며, 이미 확립된 패턴이나 습관을 따르려고 합니다 이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불확실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
  • 사람들이 시키는 일만 하려는 경향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규범, 책임 회피, 실수에 대한 두려움, 동기 부족 등이 그 이유가 될 수 있으며, 뇌의 보상 시스템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위험을 피하려는 본능이나 안전한 선택을 선호하는 성향 때문에 자발적으로 새로운 일을 시도하기보다는 지시된 일을 수행하는 것이 더 편안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뇌의 편도체와 같은 감정 조절 부위와 관련이 있으며, 새로운 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자 하는 뇌의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보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들도 간식이 있으면 주인 말을 더 듣는거 처럼 교감이 가능한 생명체면 보상에 끌리게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이 시키는 일만 하려는 이유는 동기 부족이나 책임 회피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뇌의 보상 시스템, 의사 결정과정에 영향을 받으며, 자기주도성,업무에 대한 태도와도 관련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