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축의금 관계별로 얼마씩 내나요??
예를들어 친한지인 얼마 그냥 직장동료 얼마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아직 사회초년생이라 친한지인 결혼하면 10만원씩 내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요즘 축의금 정말 곤란하지요 예식물가도 많이 올라서 한끼 식사도 오만원 선이니 물가는 올랗는대 월급은 안오르니 저는 지인은20만정도 나머지는 십만원정도 합니다
사람마다 천차 만별인데요
알고 지내는 친하게 지내는 동료 친구들은 기본이 10만원 부터 시작 하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베프라던지 좀더 잘지내는 분들은 더 이상 해도 되고요,
하지만 그냥 얼굴 알고 인사정도 하는 회사사람들, 모임 사람들은 그냥 안가면 5만원정도 보내는것 같아요,
축의금 거의10정도 낼겁니다.
대부분 친한기준 혹은 회사사람 에 따른 비용이5정도 까지 내려가지만 요즘 물가가 올라 10정도 내고 있습니다. 5는 결혼식장 안가거나 혹은 회사 직원 (사적 친밀도 없는) 정도 일듯 합니다.
축의금은 친한 정도에 따라서 더 내고 덜 내고 차이를 두는 게 맞지만 본인의 경제적 상황도 고려를
해야 합니다. 사회 초년생이면 10만원 정도 내는 게 맞는 것 같고 앞으로 경조사 갈 일이 또 있을 거예요.
그때 경제적인 상황이 좋아지면 더 내도 되는 것입니다.
회사사람 5만원
많이 친한친구면 10만원 합니다
5만원권 나오면서 뭔가 물가상승을 너무 부추긴거 같아요
아들 용돈까지 5마넌이니
요즘 물가가 올라서ㅜㅜ 결혼식에 참석해서 밥을 먹는지 안먹는지 식대가 얼마인지 여부도 고려해야하고
친분까지도 고려해야해요. 식사를 한다면 친분을 떠나 식대보다 더 내고 와야하구요-
사실 결혼식에 참석해서 축하해준다는 것에 의의가 있지만 축의금의 의미가 많이 퇴색된것 같아 슬픕니다ㅜ
사회 초년생이라고 하니 어느정도 친분이 있으면 10만원이면 괜찮을 듯 하네요.
조금 더 나이가 들고 직급이 오르면 친분이 있는데 10만원보다는 조금 더 하는 것 같아요~
식장을 안가면 5만원도 적당하구요. 밥을 안먹으니
운동으로 건강한 몸으로 돌아가입니다.축의금 관계별로
친한지인은 10만원 전당한 관계는 7만원 보통은 5만원정도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참석과 미참석의 경우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근데 이것도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라 참고만 해주심 좋을것 같네요.
별로 친하지 않은 동료이면서 미참석 시 : 5만원
친한 동료이고 참석 : 15만원 이상
친한 동료이고 미참석 : 10만원
보통 저도 그런기준으로 축의금내고있긴합니다만 본인에 사정에 맡게 하는게 더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돈이 없는데 빌려서 할수는 없잖아요
친한 직작동료 : 10만원
애매한 관계 직장동료 : 5만원
물론 본인이 결혼할때 돌려받을 돈을 생각해서 위 내용은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그냥 직장동료는 오만원 정도 합니다 가게 되면 칠만원 정도요
밥값이 4만원 이상이라서 축의금도 올라갔죠
친한 지인이면 10만원 부터 그 이상이라고 보심되요
별로 안친한 직장동료면 결혼하면 10만원 장례식장은 5만원 결혼식인데 밥안먹고 답례품안받아가면 5만원 이면 충분할 듯 합니다.
네 그정도내면될것같네요
사회초년생이고
나이도어리시면
그정도면됩니다
회사동료는 뭐 5만원정도만
하셔도무난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냉정한청설모216입니다.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친한분은 10만원을 냅니다.
친하지 않더라도 결혼식을 가게되면 5만원을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식비가 많이 올라서 고민이 심합니다.
친하지 않고 결혼식장을 가지 않는 다면 3만원을 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