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가 작동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운전하고가다가 보면 급정거할때나 미끄러울때 브레이크를 밟으면 ABS가 작동되는거 같던데
어떤원리로 작돈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까르보나라 사막에서 온 한라봉입니다.
abs는 안티 스키드 브레이크 시스템입니다 여기서 스키드는 예전에 교통사고나면 도로에 스키드자국 생겨서 조사관들이 제동거리 재서 속도가 얼마였군 알았다고합니다. 그래서 이 스키드가 안생기게하는 브레이크시스템입니다 요즘은 블랙박스와abs시스템으로인해 스키드자국을볼수는없습니다 사람이 브레이크 밟으면 1초에 20번가량 브레이크를 밟았다 해제했다 밟았다해제한 효과인 시스템집니다
abs는 제동거리를 확줄여주고요 스핀도 줄여줍니다
안녕하세요. 주말농부입니다.
abs 작동원리 간단하게 정리해 드릴께요.
ANTI-LOCK BRAKE SYSTEM 입니다.
우리말로는 잠김방지 제동장치예요.
기본적인 제동방법으로는 브레이크페달를 밟으면 기본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의 압력으로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해서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접촉시켜 그 저항력으로 제동을 하는 시스템이죠.
여기서 문제는 브레이킹으로 휠이 잠겨버리면 차량이 미끄러지는 문제가 발생 됩니다. 차량이 미끄러지면 조향을 하기 어려워 지기 때문에 휠이 멈추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BS가 탄생된 겁니다. 눈길/빙판길/흙길/모래길등 미끄러지기 쉬운 길에서 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 입니다.
작동원리는 차량의 휠에 휠센서를 부착하여 차량 상태를 모니터링 하다가 이상감지시 브레이킹을 하게 됩니다. ABS 작동 조건인 차량의 슬립을 감지하는거죠. 방법은 자세히 모르겠으나 회전속도 변화량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아무래도 미끄러운곳에서는 접지저항이 적어서 바퀴가 더 빨리 돌지 않을까요?
아무튼 슬립 발생이 확인되면 ABS가 제동에 관여를 하게 됩니다. 방법으로는 ABS유니트에서 브레이크오일을 업축/해제를 초당 5회 에서 초당 15회까지 유압을 변경시키게 되는데요 압축을 하다가 휠이 멈추기 직전에 압을해제하여 휠이 멈추지 않게 하기 위함 입니다.
ABS는 브레킹 성능이 더좋다라기 보다는 더 안전하게 운전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라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아는건 여기까지 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중한날다람쥐151입니다.
자동차 ABS란 Anti Lock Braking System 의 약자 입니다. 자동차 ABS는 급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타이어의 잠김을 방지해 운전자가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을 위한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입니다.
자동차의 4개의 타이어에는 각각 브레이크가 장착 되어 있습니다. 4개의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라인을 따라 ABS Module 유압 펌프로 모두 이어져 있는데요. 실제로 운전자가 급 제동을 했을 경우 ABS 시스템이 각 타이어의 Brake를 잠궜다 풀었다 현상을 반복하면서 운전자가 조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브레이크를 잠궜다 푸는 현상은 1초에 20회 정도 반복으로 빠르게 일어나게 됩니다. 또한 네 개의 브레이크가 한꺼번에 잠기는 것이 아닌 ABS Modual 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ABS System이 작동하게 됩니다.
비나 눈이 많이 오는 날 계기판에 ABS 경고등을 보신 분들도 있으실텐데요. 눈이나 빗길에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바퀴가 미끌리게 되면서 제어 시스템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서 ABS 경고등을 띄우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잠시 경고등을 띄웠다가 일정 주행거리 운행 후 사라지는데, 이는 ABS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ABS 경고등이 지속적으로 사라지지 않는다면 가까운 정비소에서 ABS Module 꼭 점검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