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강직한꿩279
강직한꿩279

코인, 주식 시장에서 유독 본전 찾기 심리가 강한 이유가 뭔가요?

코인이나 주식 시장을 보면 본전 찾기 심리가 엄청나게 강하잖아요

특히 전고점 부근은 한번에 뚫지 못하는걸 보면 본전오면 엄청나게 탈출하는 사람이 많아 보이더라구요

왜 다들 본전이 오면 탈출하기 바쁜 걸까요?

너무 너무 궁금합니다...

꼭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할지 여부를 본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하는데요. 본전 이상으로 주가가 오르면 팔 수 있지만 그 이하로는 절대로 팔지 않으려하는 경향은 앵커링(배가 닻을 내리듯 일단 주어진 숫자에 닻을 내려버리면 더 나아갈 수 없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들은 과거 그 주식을 매수한 가격에 닻을 내렸으므로 더 나아가지 못하고,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이 본전에서 출발하므로 다른 생각은 할 수가 없게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자는 손실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해 본전이 오면 매도하는 심리가 작동합니다. 특히, 전고점은 심리적 저항선으로 작용합니다. 집단 심리가 모여 가격 흐름을 만들게 됩니다.

    1명 평가
  • 떨어져서 내 돈이 사라지는 공포를 겪어 봤기 때문입니다.

    일단 본전이 오면 잃지는 않았다는 안도감이 들면서 다시금 떨어질까봐 그 초조하고 떨리를 마음이 싫어서 매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돈을 벌기위해 투자한 것이니 본전이 와도 매도하면 안되는 것이 맞지만,

    오랜기간 하락장을 경험했거나, 본인이 생각한 것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었다면

    본전만 오면 팔고 이 종목은 더이상 안해야지와 같은 심리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다른 곳에 투자했다면 더 벌 수 있었을거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의외로 본전이 오면 매도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막상 오르는 것을 보면 더 갈 것 같고, 이만큼 기다렸는데 조금이라도 벌어가야지 않나? 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과 주식시장에서 본전 찾기 심리가 강한 이유는 투자 손실에 대한 심리적 고통과 손실 회피 경향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손해를 입으면 회복하려는 욕구가 커지고, 본전을 찾지 못하면 불안과 후회, 스트레스가 커지기에 조급하게 매도나 추가 매수를 반복합니다. 또한, 변동성이 큰 시장 특성상 가격 변동폭이 크고 예측이 어려워 본전 회복 기대감이 더욱 강해지며, 군중 심리와 정보 과잉도 이를 부추깁니다. 이런 심리적 요인이 투자 판단에 영향을 미쳐 때로는 비합리적 행동으로 연결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람의 뇌는 손실을

    극도로 회피하는 성향이 있기에

    이에 따라서 주식이나 투자자산 등에서

    본전에 대한 심리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과 주식에서 본전찾기가 심한 이유는 이러한 본전을 찾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있기 떄문입니다. 주가가 상승할떄 불나방처럼 들어갔찌만, 이를 파란색으로 전환한다면 손절을 해야하는데 손절을 하지못하고, 두게 되면 지하를 뚫고 내려갑니다. 이러한 하락을 오랫동안 경험하면 본전이 오면 도망쳐야지. 또는 본전에 왔다가 털고, 아래에서 다시 잡아야지 하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다수 일반인 투자자가 코인이나 주식에서 크게 손실이 났기 때문입니다 흔히 일반인투자자를 보면 손절은 못합니다 그래서 장기투자 계획도 없는데 어쩔수없이 비자발적 장기투자를 하게 됩니다.

    이런 비자발적 장기투자는 손실율이 -50%를 넘어가면서 반토막이 나거나 그 이상으로 -60~-80%의 수익률을 보일때가 허다합니다. 그러다 이런 종목에 대해서 워낙 손실이 크고 비자발적 장기투자를 1년 혹은 몇년씩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이경우에는 매우 지치고 장기간 들고다니면서 스트레스가 쌓이다보니 본전이라도 찾자는 심리가 강해지기 마련입니다 이는 직접 경험하면 그렇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본전까지 오는 경우도 매우 힘들고 ( 손실율이 워낙 커서 ) 그래서 겨우 본전정도오면 그때 빨리 매도하고 쳐다보기도 싫어서 그냥 팔고 속이 후련하다는 그런 감정때문에 빨리 매도하려고 포지션을 정리하려는 심리때문에 발생되는것으로 보시면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나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강하기 때문에 하락하더라도 조금만 더 버티면 상승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거래하는 경우가 큽니다. 상대적으로 다른 자산은 특히 부동산 등 회복되는데 까지 상당 기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시장 특유의 변동성 때문에 더 본전 찾기 심리가 강한 이유가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손실된 금액에 대해서 이를 복구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심리는

    어떻게 보면 매우 자연스러운 일로 보여집니다.

    그렇기에 한번이라도 손실을 보게 되면 본전을 되찾기 위해서 크게 노력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나 주식 시장에서 가격이 오르게 되면 앞으로 더 오를 거라는 기대감에 매도를 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다시 하락장이 오게 되면 손실을 받게 되는데 이런 손실이 오랫동안 지속이 되면 원래 투자했던 금액을 회수하고자 하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을 합니다.

    이런 심리 상태에서 다시 코인이나 주식의 가격이 올라 원래 가격을 회복하게 되면 이전에 오랫동안 손해를 봤던 심리 때문에 매도를 하고자 하는 심리가 생기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나 주식에서 본전에 대한 심리가 강한 이유는 보통 하락을 많이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장기간 특정 주식이나 코인에 물려있게 되면 본전이 왔을때 손실은 피해서 다행이다라고 생각하면 탈출하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위험자산에 속한 코인과 주식 개인 투자자들의 경우 손실을 경험하게 되면 투자심리가 크게 흔들리는 경향이 강합니다. 즉, 투자 원금을 되찾고자 하는 욕망이 매우 강합니다.

    이러한 개인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투자 대상이 각광을 받을 때 즉, 단기 꼭지 근방에서 매수를 하여 시세가 꺾이며 큰 손실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당 기간 손실 회복이 쉽지 않아 원금 회복에 대한 니즈가 매우 강하게 발현 되어서 단기 고점 돌파가 쉽지 않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