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항문이 있는 동물들은 어떻게 나눌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항문이 따로 있다는 것은 그만큼 몸을 이루는 조직이 각각 서로 다른 역할을 하도록 분화 되었다는 뜻이잖아요~ 그럼 입과 항문이 있는 동물들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건가요?
입과 항문을 가진 동물들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한 가지 기준으로 단순히 나누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동물을 나누는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먹이 섭취 방식에 따른 분류
초식 동물 : 식물만을 먹는 동물 (예: 소, 토끼, 코끼리)
육식 동물: 다른 동물을 잡아먹는 동물 (예: 사자, 호랑이, 상어)
잡식 동물: 식물과 동물을 모두 먹는 동물 (예: 곰, 돼지, 인간)
생태계 내 역할에 따른 분류
생산자 :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는 생물 (예: 식물)
소비자 : 다른 생물을 먹고 사는 생물 (예: 동물)
분해자 : 죽은 생물체를 분해하여 생태계에 영양분을 되돌려주는 생물 (예: 균류, 세균)
계통 발생학적 분류
척추동물 : 척추를 가진 동물 (예: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무척추동물 : 척추가 없는 동물 (예: 곤충, 연체동물, 절지동물, 환형동물)
서식지에 따른 분류
육상 동물 : 육지에서 사는 동물
수생 동물 : 물에서 사는 동물
양서류 : 육지와 물을 오가며 사는 동물
하지만 이러한 분류는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실제로는 더욱 세분화되고 복잡한 분류 체계가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입과 항문이 따로 있는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내부 소화관이 몸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입으로 음식을 섭취하고, 소화관을 통해 음식물이 소화되고 영양소가 흡수된 후 항문을 통해 배설됩니다.
이를테면, 사람, 조류, 대부분의 어류 등이 입과 항문이 따로 있는 동물들에 속합니다. 이들은 몸 내에서 음식물의 흐름이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되며, 소화와 배설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 소화관이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입과 항문이 있는 따로 존재하는 동물들은 소화관이 입에서 시작해서 항문으로 끝나는 완전한 소화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물들은 크게 '선구동물'과 '후구동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구동물'은 발생 초기의 배에 처음으로 형성된 구멍인 원구가 성체의 입이 되고, 항문은 원장의 말단에 형성되는 동물을 말하는데요, 발생 초기에 형성된 원구가 바로 입이 되기 때문에 선구란 명칭이 붙었습니다. 선구동물은 가장 성공한 후생동물로 16∼18개의 문으로 분류되고 대부분의 동물종이 속하며 절지동물, 연체동물, 환형동물, 선형동물을 포함합니다. '후구동물'이란 동물을 배의 발생 중에 소화관의 형성 차이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나눈 한 동물군으로 원구가 성체의 항문도로 되고 입은 원구와 관계없이 새로 생기는 경우를 말하며, 척삭동물, 극피동물, 반삭동물을 포함합니다. 이처럼 입과 항문이 있는 동물들은 원구동물과 후구동물로 크게 나뉘지만, 그 외에도 세포 조직, 배엽의 수, 체강 구조 등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분류가 가능한데요, 체강 구조에 따라서 무체강동물, 의체강동물, 진체강동물로 나눌 수 있으며, 대칭성에 따라서 방사대칭동물, 양측대칭동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입과 항문이 있는 동물들은 배엽 형성 방식에 따라 원구류와 후구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구류는 초기 배아 단계에서 원구가 입이 되는 동물군이고, 후구류는 원구가 항문이 되고 새로운 입이 형성되는 동물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