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잠자는 잠만보
잠자는 잠만보20.12.21

배당 받으려면 언제 보유 하고 잇어야 하나요?

금년 증권시장은 언제까지 거래하나요?

그리고 배당 받으려면 언제 보유해야 하나요?

배당락은 무엇인가요?

배당은 언제 들어오나요?

내년 주식 시장은 언제 부터 시작인가요?

가르쳐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지급일

    우선, 삼성전자의 과거 배당일을 찾아봅시다.

    출처 : 인베스팅

    위의 사이트는 주식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인터넷에 '인베스팅'이라고 치시면 나옵니다.)

    이곳에 삼성전자를 검색한 후

    재정상황 → 배당 을 들어갑니다.

    과거의 얼마만큼의 배당을 줬는지

    매년 배당금이 얼마큼 오르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곳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는데

    한 곳은 배당락일이고

    한 곳은 지급일입니다.

    위의 배당기준일이 나와 있지 않지만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기 때문에

    배당기준일부터 설명하겠습니다.

    배당기준일은 간단하게 생각해서

    배당금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의 명단을

    확인하는 날입니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배당금 지급 명단에 들어가는 겁니다.

    배당락일은 배당기준일 바로 전날로

    그냥 배당금을 못 받는 날

    이렇게 생각해두시면 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주식은 (매수 2일 후 소유, +2)로 생각해야 합니다.

    월요일에 주식을 매수했어도

    주식을 소유할 수 있는 날은 수요일입니다.

    위의 사진처럼 정상적으로 월요일에 매수했을 때

    배당기준일(수요일)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배당지급일에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요일에 매수를 하게 된다면 ?

    화요일에 매수하게 되면

    목요일에 소유를 하게 되므로

    배당기준일에는 가지고 있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화요일은

    배당금을 받을 수 없는 날이 되는 것이죠.

    이렇게 배당금을 받을 수 없는 날이

    배당락일이 됩니다.

    배당일은 말 그대로 배당금을 받는 날입니다.

    따라서 배당일보다

    배당락일과 배당기준일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가

    배당기준일에만 주식을 들고 있어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금 지급 종류

    배당금 지급 종류는 크게 다섯 가지 입니다.

    월배당, 분기배당, 반기배당, 연배당, 특별배당

    월배당은 월마다

    분기배당은 분기마다

    반기배당은 반기마다

    연배당은 연마다 돈이 나오는 것이고

    특별배당은 이익이 많이 남아서,

    기업이 주주들에게 이익금을 나눠주는

    특별한 이벤트입니다.

    배당 지급 종류는 기업마다 전부 다릅니다.

    배당을 아예 주지 않는 곳도 많아요.

    삼성전자는 분기마다 나눠주기 때문에

    분기배당에 속합니다.

    또한, 배당금액은 연마다 오르지만

    기업의 순이익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삼성전자처럼 고정 배당으로 나갈 수도 있습니다.

    배당금 지급 종류에 따른 배당률

    위에서 말했듯이

    주가 × 배당률 = 배당금

    주가당 배당률에 의해

    배당금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배당주를 좋아하는 분들은 배당률을 따라

    많이 움직이기도 합니다.

    또한 대개 배당률은 연으로 따지기 때문에

    연배당으로 한번 받든 월배당으로 12번 받든

    받는 금액은 같습니다.

    예를들면

    A기업의 주가 10만원

    배당률 5%

    이라는 곳에 투자를 했을 때,

    배당금은 5,000원이며,

    연배당으로 받을 시 연말에 5,000원이 들어옵니다.

    분기배당으로 받을 시 분기마다

    5000/4의 금액이 들어옵니다.

    월배당으로 받을 시 월마다 5,000/12를 하여

    대략 417원이 들어온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흔히 리츠주라고 불리는 주식들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유명한 맥쿼리 인프라나

    미국에서 유명한 SL 그린 리얼티 등

    달마다 또는 분기마다

    배당금을 챙겨주는 곳입니다.

    주식 포트폴리오를 짤 때,

    단순히 성장성에만 매달리지 마시고

    배당이 들어오는 배당주도 알아보고

    안전하게 투자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또한, 이벤트성으로 배당을 주는 기업인지

    매년 주주들에게 배당을 주는 기업인지

    꼭 확인하시고 투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whwhwer/222156875475


  • 배당기준일이란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가 배당을 받을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날을 말합니다. 즉, 주주가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배당금의 지급 유무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배당 소득을 위해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배당기준일에 주식회사의 주식을 반드시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배당기준일은 연말 배당 주식의 경우 12월 말이며, 삼성전자 분기 배당금처럼 분기에 배당을 하는 주식의 경우 월의 말일이며, 배당기준일은 주말, 공휴일 등 증권시장이 쉬는 날은 제외됩니다. 연말 배당주식의 경우 2020년 12월31일 말일은 폐장일이므로 12월 30일 주식회사의 주주명부에 등재가 되어야합니다.

    배당락일이란 배당기준일이 경과하여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 최초의 날을 뜻합니다. 따라서, 배당락일은 주식시장이 하지 않는 폐장일 (매년 12월 마지막 )과 주말/공휴일을 제외하고 마지막 주식 개장날에서 두 번째 영업일을 찾으시면 됩니다.

    연말 배당주식의 경우 2020년 12월 31일은 폐장일이므로 12월 30일 기준 2 영업일이 배당락이 발생하는 기준일이 됩니다.

    배당주입고는 보통 정기주총이 실시하고 한달내에 지급하는것이 관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