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냉철한라마35
냉철한라마35

달에 우주기지를 만들 때 달에 남극으로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달에 많은 지역들이 있을 텐데요. 그 중에서도 하필 달에 남극 부근에 달에 남극기지 즉 전진기지를 만든다고 하는데요 왜 그쪽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에 우주 기지를


      건설하는데


      달의 남극을


      선호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달 남극은 1년 중 대부분 햇빛이 비칩니다.


      이는 기지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 에너지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달의 밤은 약 14.5일 동안


      지속되므로, 밤 동안에도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합니다.

      달 남극에는


      얼음 형태의 물이 존재한다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은 생명 유지, 식량 생산,


      로켓 연료 제조 등에 필수적인 자원입니다.


      달 남극에서 물을 확보할 수 있다면


      우주 기지 운영 및 미래 화성 탐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달 남극은 지구와의 통신 거리가 비교적 짧습니다.


      이는 지구와의 원활한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달 남극은 크레이터가


      비교적 적고 지형이 평탄합니다.



      이는 기지 건설 및 운영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달 남극은 화성 등 심우주 탐사의


      중심지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달 남극에 기지를 건설하면 미래 탐사를


      위한 발판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달 남극에는 희귀 광물 등 다양한


      자원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래에는 달 남극 자원 개발을 통해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달 남극 기지 건설은 많은 어려움도 있습니다.


      극한의 환경, 높은 건설 비용, 기술적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달 남극 기지 건설은 인류 우주 탐사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남극 지역은 영원한 그림자 지대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지역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햇빛을 받지 못하고 영원히 어둡기 때문에, 그 안에 있는 크레이터들은 수많은 얼음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얼음은 물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음식과 음료수를 생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남극 지역은 달의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입니다. 이는 지구와의 통신에 있어서 더 나은 신호 강도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지구와의 통신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에는 많은 지역들이 있지만 달의 남극 부근에 우주기지를 만드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달의 남극 부근은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이기 때문에 달의 남극에 우주기지를 만들면 달의 표면 온도가 낮아서 기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달의 남극 부근은 달의 자전축과 거의 일치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달의 자전력을 이용하여 우주선을 발사하는 데에도 유리합니다. 그리고 달의 남극 부근에는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서 물을 활용하여 생활에 필요한 수소와 산소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달의 남극 부근이 우주기지를 만들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선택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