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외래종인 늑대거북은 우리나라 생태계에 어떤 피해를 주고 있나요?

외래종이 우리나라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는 소식은 종종 들었는데요, 그중 최근에는 늑대거북이 우리나라 생태계에 큰 피해를 끼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정확히 늑대거북은 우리나라 생태계에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상훈 박사입니다.


    늑대거북은 매우 강력한 포식자로, 다양한 생물을 먹이로 삼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토착 생물들이 큰 위협을 받게 됩니다. 늑대거북은 물고기를 주로 먹으며, 이는 토착 어종의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개구리, 두꺼비와 같은 양서류도 늑대거북의 먹이가 될 수 있어 이들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됩니다. 물가에서 서식하는 새의 새끼나 작은 포유류도 늑대거북의 먹이가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늑대거북'은 거북목 늑대거북과에 속하는 파충류를 말하는데요,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생태계 교란 생물이란 생태계 균형을 어지럽히거나 어지럽힐 우려가 커 개체 수 조절이나 제거가 필요한 생물을 말하는데요, 늑대거북의 경우 물가 생물 중 악어 다음 가는 최상위 포식자이며 어류, 조류, 양서류는 물론이고 소형 포유류도 먹어치울 정도로 포식성이 강하다고 합니다. 특히 국내에는 천적이 없어 생태계를 교란할 가능성이 크며 더구나 성격이 사납고 공격적이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늑대거북은 외래종으로서 우리나라 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이들은 원래 북미 지역에 서식하던 종으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우리나라에 이주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생태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른 생물들과 경쟁하며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늑대거북은 식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생물을 포식하는 육식성 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생태계에서는 다른 생물들의 식량을 빼앗아 생태계의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늑대거북은 알을 낳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생태계에 빠르게 적응하고 번식하며 다른 생물들의 서식지를 차지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원래 생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늑대거북은 우리나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적극적인 관리와 대처가 필요합니다. 우리 모두가 생태계의 균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늑대거북(일명 큰입배스)은 우리나라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외래종입니다. 이 종은 강한 포식성과 빠른 번식력으로 토종 수생 생물들을 무차별적으로 잡아먹어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특히 토종 어류, 양서류, 파충류, 수생 곤충 등을 포식하여 이들의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킵니다. 또한 토종 어류와 먹이 경쟁을 하며, 산란지를 차지하여 토종 어류의 번식을 방해합니다. 늑대거북은 천적이 거의 없어 개체수 조절이 어렵고,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다양한 수역에서 서식할 수 있어 피해 범위가 넓습니다. 이로 인해 수생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먹이사슬이 교란되어 전반적인 생태계 구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이들은 식물을 먹는 것이 아니라 작은 동물을 잡아 먹는 육식성 동물로,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원산지 종들에게 위협을 줄 수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생태계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늑대거북은 우리 생태계에서 강력한 포식자로서 토종 생물 경쟁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잡식성으로 물고기, 새, 양서류, 심지어 작은 포유류까지 공격하며 토종 생물의 먹이와 서식지를 침범하고, 알이나 새끼 동물을 집중적으로 노려 토종 생물 번식에 위협을 가합니다.

    게다가 한국에는 늑대거북의 천적이 없어, 방제가 어려워 토종 생물들에게 더욱 심각한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늑대거북이 증식하면 특정 종의 개체수를 감소시켜 생태계의 먹이사슬과 먹이그물을 교란하고,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늑대거북이 물고기나 개구리 개체수를 줄이면, 이를 먹이로 삼는 다른 동물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전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늑대거북은 살모넬라균과 같은 질병을 매개할 수 있어, 사람과 다른 동물들에게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아이나 노약자는 감염 위험이 더 높습니다.

    경제적인 피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늑대거북이 양식장의 어류나 수생식물을 먹어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이는 양식업 종사자들에게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늑대거북이 증식하면 관광객 감소와 같은 부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