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우리나라 역사상 해상상륙장갑차는 언제 처음 도입되었고 만들기 시작했나요

우리나라 해병대 영상을 보니 해상과 육상을 다니는 장갑차를 운영하던데 이런 장갑차는 언제 처음 도입되었고 만들기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륙양용 장갑차는 상륙돌격장갑차라하며, 물과 육지에서 모두 운용할 수 있는 장갑차로, 상륙작전이나 수상기동에서 능력을 발휘합니다. 한국에서는 미국의 AAV-7A1을 참고하여 KAAV라고 불리는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를 개발하였습니다. 1998년 한화테크윈이 BAE시스템과 계약해 기술도입 방식으로 국내에서 면허 생산하고 있습니다. KAAV는 병력용 장갑차인 'KAAV-P7A1'과 지휘용 장갑차인 'KAAV-C7A1', 구난용 장갑차인 'KAAV-R7A1' 등 총 3종류입니다. 현재 해병대에서 200여대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군이 보유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강습상륙함인 ‘독도함’은 KAAV 7대를 탑재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98년부터 AAVP-7A1을 기술도입 방식으로 한화테크윈이 KAAVP7A1이란 제식 명칭을 부여해서

    면허생산 중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륙돌격장갑차 (Assault Amphibious Vehicle)는 미 해병대가 상륙작전을 할 때 사용하는 수륙양용 장갑차에서 그 용어가 시작됐다고 합니다. 1972년 최초의 AAV인 ‘LVTP-7’를 실전배치한 것이 시발점인데 이후에 1984년 미국 해병대는 LVTP-7A1을 ‘AAV-7A1’로 명칭을 바꿨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