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날아라뵹알
날아라뵹알22.08.28

급여에 얼마만큼 저금하는것이 평균적일까요?

요새 급여를 받는대로 거의 다쓰고 20만원정도밖에 저금을 못하고있어여ㅠㅠ 제가 돈 관리를 잘 못하고 있는거 같은데 보통 평균적으로 급여의 몇퍼센트를 저금하는 것이 적절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비와 변동비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먼저인 것 같습니다.

    만약 고정비의 지출이 월급의 50%를 차지한다면 20%의 저금 금액도 적은 금액은 아닐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정비의 지출 금액이 20%임에도 불구하고 저금금액이 20%라면 매우 심각하게 변동비의 지출이 큰 상황이기 때문에 재무를 다시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먼저 지출의 내용부터 확인 후 저금금액을 최대한 50%까지 늘릴수 있도록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 미혼자인 경우 급여의 50프로를 저금하는게 국롤입니다. 저금이라는게 쓰고 남은걸 저금하는게 아니라 저금하고 그에따라 사용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사람마다 편차가 있지만 50프로 룰은 지켜야 할듯 하네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주택구입에 대한 대출원금 및 이자등을 내는 가계가 아마도 소비지출에 대부분 많이 차지할것임며 그 다음으로 자녀 교육비등 생활비인데 소비내용을 봐서 이런 고정적인 지출이 아닌 외식비나 문화 및 유흥이라면 소비관리를 하셔야겠습니다, 개인마다 틀리기에 특정할수 없는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개인의 놓여진 경제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무분별한 소비가 걱정이라고 하시면, 매월 고정 비용을 계산하여

      고정 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모두 저축하는 방법으로 통장을 나눠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한 통장에 돈을 관리하면 보통 있는대로 쓰기가 쉽지만 통장별로 이름을 붙여서 관리한다면 소비를

      절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금융패턴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20-30대의 미혼 평균 저축률은 30%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40대 이상 기혼일 경우에는 이 수준이 2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회초년생이라면 본인이 현재 부모님집에서 다니느냐, 차가 있느냐,

    봉급이 어느정도냐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만 평균적으로 50%이상은 저축을 하여야

    미래에 주택 구입, 결혼, 노후 준비 등을 준비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