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인하가 왜 시중금리인하와 직결되지 않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기준금리가 낮아졌지만 시중금리는 바로 반영되지 않고 기준금리만큼 떨어지진 않더라구요.
기준금리인하가 왜 시중금리인하와 직결되지 않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준금리만 있는 게 아니고, 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래서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은행에 적용하는 금리로, 시중금리는 은행이 최종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대출 및 예금 금리입니다. 시중금리는 은행의 조달 비용, 운영비, 리스크 평가, 시장 경쟁 상황에 따라 달라져 기준금리 인하가 곧바로 시중금리 인하로 직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이 가산금리를 조정하면서 시중금리가 변동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들이 예적금이나 대출금리나 시중거래금리를 반영합니다 그래서 사실 기준금리 인하를 해도 기존에 반영이 어느정도 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중금리 인하하면 파킹통장 같은건 바로 금리를 내리긴 하죠
문제는 대출금리에서 은행들이 내부기준으로 정하는 가산금리를 안내리는게 저는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떨어졌다고 해도 시중금리가 똑같이 움직이지 않는 건 은행 상황이랑 시장 분위기가 다 얽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은행은 자금 조달 비용이나 예금 금리 같은 걸 같이 고려해야 하고 대출 수요가 얼마나 되는지도 신경 씁니다. 또 채권 금리나 물가 전망 같은 게 섞여서 실제 시중금리를 결정하다 보니 단순하게 기준금리 따라가기만 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준금리 인하와 시중금리인하가 직결되지 않은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준금리는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것이며
시중의 금리가 이와 자동으로 연동되지는 않고
각 금융기관이 기준금리를 기반으로 자신들의 시중금리를 결정하기에
어느 정도 두 금리 사이에 시간이 걸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시중 구내 은행이 금리를 결정할 때 참고하도록 하는 수치입니다.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기 때문에 시중 은행은 현재 자신의 금융 상품들을 비교해서 자신에게 이득이 날 수 있을 정도의 금리 조정을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출금리의 경우 기준금리와 각 은행에서 설정한 금리가 있습니다. 기준금리는 모든 은행이 동일하며, 각 은행이 설정한 금리는 은행에 따라 설정한 이율이 다릅니다. 따라서 이 두가지를 합친 대출금리의 경우 각 은행마다 조금씩 다르며, 이러한 대출금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급여통장 자동이체, 해당은행 신용카드 사용 등을 통해서 각 은행의 이자를 낮춰서 상환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중에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설정한 정책금리입니다.
하지만 실제 대출, 예금 금리는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과 시장금리에 영향을 더 받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중앙은행과 시중은행간에 차입을 할때 적용되는 초단기물 금리이며 각국마다 이 기준물이 다르지만 한국은 7일물 RP금리가 기준입니다
즉 중앙은행과 시중은행간의 차입금리이고 초단기물이기 시장금리와는 다른것입니다
시장금리는 국내에선 3년물 국채금리가 통상적이며 이외 금융채 5년물이 기준으로 이는 유통시장에서 결정되는 금리이고 시중은행이 금융채를 발행시 시장에서 다른 금융기관수요가 높다면 높게 거래가 될수 있는 요소이며 기간도 훨씬길므로 서로 차이가 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중은행들은 예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대출로 운용하여 이익을 냅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은행 간의 초단기 금리에 영향을 주지만 은행이 고객에게서 받은 예금의 금리는 즉각적으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특히 예금 확보 경쟁이 치열할 때는 예금 금리를 쉽게 낮출 수 없죠.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결정됩니다. 가산금리는 대출자의 신용도, 대출 상품의 종류, 은행의 운영 비용, 목표 수익률 등을 반영합니다.
시장은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고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리기 전부터 이미 시장금리(채권 금리 등)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죠. 따라서 실제로 기준금리가 인하될 때는 이미 시중금리에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어 즉각적이고 큰 폭의 추가 하락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기준금리는 시중금리에 영향을 주지만 직결되지는 않습니다. 은행의 수익성, 대출 시장의 경쟁 환경, 경기 상황에 대한 판단 등 복합적인 요인이 더해져 시중금리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발행된 높은채권이나 예금상품이 있어서 은행의 실제자금조달 비용이 당분간은 시중금리로 유지되고 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아마도 시장의 반응이 즉각적으로 반영되기엔 조금의 시간이 걸리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