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페퍼민트
페퍼민트

'유동성 함정'에 빠진다는 건 어떤 상황을 의미하나요?

경제 기사에 유동성이라는 단어가 자주 나오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자산을 현금으로 얼마나 바꿀 수 있는지의 정도라는 것은 알고 있는데, 유동성 함정에 빠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경제학에서 유동성이란 돈의 양을 의미합니다. 경기가 침체되면 정부는 재정정책과 화폐정책으로 경기를 살리려는 노력을 하는데요. 그 과정에서 시중유동자금이 증가하게 되죠.

    그런데, 돈의 양이 늘면 돈의 가치는 줄어들겠죠? 그러면 금리가 낮아질거고, 금리가 낮으면 더 높은 수익을 좇아 대체자산 - 예를 들어 부동산, 주식, 금, 가상화폐 같은- 으로 돈이 몰리죠. 어떤 자산으로 돈이 몰리는 과열현상이 나타나면 소위 '버블(거품)'이 발생하죠.

    정부가 이러한 거품을 가라앉히자니 경기가 나빠질거 같고 그냥 두자니 거품붕괴 시 경제가 악화될것 같은, 즉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유동성 함정' 이라고 합니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당시 미국의 QE 라든가 2019코로나 극복을 위한 세계적 화폐량 증가와 그 이후의 정책금리 인상 등이 좋은 예라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유동성의 함정의 경우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유동성을 공급하는데, 일반적으로 유동성 공급은 경기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지속적인 유동성 공급으로 더이상 유동성 공급이 시장이 반응하지 않는 상황이 유동성의 함정이라고 지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동성함정이란 투자자가 투자는 하지않고 현금을 보유하는것을 말하는것으로 정부정책등으로 금리를 인하시켜주고 자금을 시중에 공급하여 소비형태로 이루어져 경제가 활성화가 되어야하는데 투자나 소비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유동성함정이란 정부에서 경제활성화를 위해 금리를 인하하고 시중에 돈을 많이

    유통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돈을 소비하지 않고 보관하는 등함으로써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