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보통가 주문했는데 왜 체결이 될까요?
시장가로 15500원 매수해서 현재 주가가 100원 오른 15600원 이상 계속 오르는중 첫 매수가 밑으로 손해 안보려고 보통 지정가로 15500웜에 지정했는데
바로 15514원가 체결이 떠버리는데
주가가 금액폭이 적어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가 주문은 시장가와 유사하게 빠른 체결을 목표로 하지만 호가 단위, 거래량에 따라 체결가가 달라집니다. 지정가보다 낮게 체결되는 경우는 시장 변동과 호가 간격, 잔량 소진 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주문이 바로 체결된 건 호가 흐름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보통가 주문은 시장가와 비슷하게 즉시 체결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현재 매도 호가가 지정가보다 조금만 높아도 바로 맞춰집니다. 예를 들어 15500원에 걸어도 매도 잔량이 비어 있거나 최소 단위로 호가가 올라가 있으면 15514원처럼 가까운 가격에 체결될 수 있습니다. 특히 주가 변동 폭이 좁고 거래가 활발하면 호가 간격이 빠르게 바뀌어 지정가와 실제 체결가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게 시세가 계속 움직이는 장중에는 더 자주 나타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매도로 걸어놓은 금액 15500원 보다 높은 금액인 15516원으로 체결됐다는 것이죠? 매수 호가가 글쓴이님이 걸어놓은 매수호가 그보다 높았기 때문입니다.
호가가 15600원인데 지정가 15500원으로 주문을 넣으면 15600원에 바로 체결이 됩니다.
15514원으로 된거는 15600원에 일부 체결, 15550원에 일부 체결, 15500원에 일부 체결이 된 평균가격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보통가 주문을 했는데 왜 체결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주가의 변동성이 매우 커지고 주문량이 많아지면서
지정가보다 조금 더 높은 가격에 체결이 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매수를 그렇게 지정했다고 한다면 이는 내가 지정한 매수가 까지 오지 않아서 거래가 채결이 되지 않은 것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러한 것은 지정가와 시장가가 일치해야 거래가 성립이 되기 때문에, 만약에 이러한 금액에 거래를 하고 싶었다고 하시면 15515원에 매수를 걸어두셨다면 거래가 성립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다음에 거래를 하실때에는 이러한 부분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정가 이상 가격으로 매수 체결이 발생하는 이유는, 주식 거래의 가격·시간·수량 우선 원칙 때문입니다. 매수 주문을 지정가로 넣으면 해당 가격이나 그보다 낮은 가격의 매도 호가가 있을 때 체결되는데, 실제 체결 가격이 지정가보다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주요 원인과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격우선 원칙: 매수의 경우, 입력한 지정가(예: 10,000원)보다 낮은 매도 호가(예: 9,900원)가 있으면, 더 낮은 가격의 매도 호가부터 체결됩니다. 즉, '지정가 이하' 가격으로도 매수 체결될 수 있습니다.
시간우선 원칙: 동일 가격이라면, 먼저 접수된 매도 호가가 우선적으로 체결됩니다. 여러 주문이 경쟁할 경우, 체결은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지정가 주문의 체결 조건: “지정한 가격 또는 그보다 유리한 가격”에만 체결이 이루어지며, 절대 지정가보다 불리한 가격(더 높게)으로는 매수 체결되지 않습니다.
동시호가(장 시작/종가 등 단일가매매)에서는 모든 주문을 한 번에 모아 체결하기 때문에 지정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될 수 있습니다.
즉, 지정가 매수 주문은 '내가 지정한 가격 이하'의 모든 매도 호가(수량만큼)와 차례로 체결되므로, 실제 체결 가격이 지정가보다 유리할 때(낮을 때)도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