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명절때 먹는 과를 만드는 원리를 과학적으로 설명해주세요

명절때 먹는 과는 찹쌀가루를 반죽해 말려놓았다가 튀기니 뻥튀기처럼되던데 그걸 조청에 묻혀 만들던데~이때 딱딱한 찹쌀덩어리가 왜 뻥튀기처럼 튀겨지는지 과학적으로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경태 전문가
      김경태 전문가
      LC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절 때 먹는 찹쌀 떡의 튀긴 모습은 화학적인 반응과 열의 변화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찹쌀은 전체적으로 딱딱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찹쌀을 반죽하고 조청에 묻힌 뒤 튀길 때, 외부로부터 열이 전달되면서 찹쌀을 둘러싸고 있는 물분자가 가열되고 수증기로 변합니다. 이 과정에서 물분자들 사이의 결합이 약해지고 스팀이 생성됩니다.

      스팀이 생성되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찹쌀 떡 안에서 압력이 쌓입니다. 찹쌀 떡의 겉과 속이 서로 다른 고체와 액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이 쌓이면서 찹쌀 떡 안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고체인 찹쌀을 밀어 올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찹쌀 떡이 팽창하고, 외부로 뻥튀기처럼 튀어나오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찹쌀이 조청에 묻혀서 튀겨질 때, 조청 속에 포함된 물과 기타 성분들이 열과 기체 형태로 변환되면서 찹쌀 주위에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 압력 증가로 인해 찹쌀 내부의 수증기가 증가하고, 뻥튀기처럼 팽창하게 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