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식물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어떤 화학적 반응을 보이나요?

가만히 있는 식물도 어떻게 키우느냐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고 하잖아요. 애정을 쏟아야 한다고 그러는데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반응이 어떤 지 메커니즘이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다양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대표적인 반응으로는 호르몬의 변화, 항산화물 생성, 방어 물질 생성 등입니다.

    만일 가뭄이나 염분 스트레스 시 기공을 닫아 수분 손실을 줄이고, 종자 휴면을 유도하기 위해 앱시스산을 늘리며 상처나 병원균 감염, 가뭄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세포 성숙, 잎 떨어짐 등을 유도하기 위해 에틸렌를 만듭니다.

    또한 해충 공격이나 상처에 대한 방어 반응을 유도하고, 다른 식물들에게 위험 신호를 보내기 위해 자스몬산를 만들기도 하죠.

    또한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나 카로티노이드를 생성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세포 손상을 막고, 자외선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도 하며 글루타티온을 만들어 해독 작용을 하고,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도 합니다.

    또한 병원균 감염 시 피토알렉신이 생성되어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식물체를 보호하기도 하며 해충의 소화 효소를 억제하기 위해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만들어 해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식물들은 보통 탄닌이나 수지등을 분비하여 벌레나 미생물들같은 외부스트레스요인을 씻어내려는 반응을 보이기도합니다.

    이외에도 생장이느려지고 잎색이변하며 떨어지기도합니다.

  • 식물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다양한 화학 물질을 생성하고 분비합니다. 예를 들어, 가뭄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브시스산(ABA)이라는 호르몬을 생성하여 기공을 닫아 수분 손실을 줄입니다. 또한, 곤충의 공격을 받으면 재스몬산이나 살리실산과 같은 화학 물질을 생성하여 방어 메커니즘을 활성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식물은 스트레스를 벋으면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성장속도가 느려지고 아얘멈추기도합니다.

    화학적변화로는 수지나 탄닌같은 화학물질들을 분비하여 스트레스원을 제거하고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활성산소(ROS) 생성, 항산화 시스템 활성화, 살리실산이나 자스몬산 같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 생산 증가 등이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식물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다양한 화학적 반응을 보입니다. 가뭄, 고온, 병충해 등의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ABA(abscisic acid)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을 생성하여 기공을 닫아 수분 손실을 줄이거나,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여 세포 손상을 방지합니다. 또한, 병원균에 대한 방어 기작으로 병원균의 침입을 감지하고, 다양한 방어 단백질을 생성하여 병원균을 제거하거나,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통해 조절되며, 식물의 종류와 스트레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즉, 애정 어린 관리를 통해 스트레스 요인을 줄여주면 이러한 방어 기작에 에너지를 덜 소모하게 되어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