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12.15

일제 강점기 잔재들은 어떤것이 잇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일제강점 이라는 뼈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요

그 잔재도 많이 남아잇는걸로 아는데 언어적인 잔재 문화적 잔재.등 일제 잔재는 뭐가 남아잇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시, 오뎅, 찌라시 등 지금도 쓰고있는 말들이 일본어이며교복이나 두발 규제에 관한 것들 그리고 기수를 따지는 서열 문화 자체가 습관적으로 남아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장선생님의 훈화 말씀을 예로 하면, 이는 상사가 부하에게 훈시한다는 뜻의 일제 강점기 때 군대용어였습니다.

    3-3-7박수도 일본 군국주의에서 찾을수 있는데 일본 고유의 박자 감각이 표현된 전통 단가가 대부분 7어절이므로 일제가 자신들의 몸에 벤 7박자로 337 박수를 만들어 군의 사기진작을 위해 퍼뜨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 생활 속 언어

    우리말과 혼용되어 있는 한국말

    젓가락 = 와리바시 , 단무지 = 다꽝 , 하늘색 = 소라색 양념 = 다대기 , 양동이 = 바깨스

    2. 구권에 존재하는 일제 잔재

    한국은행 직인

    일본의 국인인 '히노마루'의 도안을 그대로 본떠서 사용했다.

    3. 인감증명

    1914년 식민지경제수탈을 목적으로 도입

    토지조사사업 등 현재까지 사용 중

    4. 국회의원 금뱃지

    1948년 실제로 일본 의회를 따라서 만듦

    5. 교육현장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이 놀이도 일제의 잔재

    유치원이라는 명칭

    도깨비도 일본 잔재 '혹부리 영감'은 일본의 오니

    한국판 도깨비는 인간과 비슷한 외형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잔재의 유형은 크게 인적ㆍ물적 잔재 유ㆍ무형의 잔재 친일잔재 민족말살정책의 산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도 빼놓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한 문제들임에 틀림없습니다. 인적ㆍ물적 잔재는 일제 침략전쟁과 식민통치에 부역한 친일반민족행위자를 포함한 혈연 지연 학연 등으로 맺어져 이해관계를 같이하고 기득권을 유지한 친일파 그리고 그들이 형성한 친일재산을 말합니다. 또 일제가 침략전쟁과 식민통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조성한 시설물과 선진 조형물 등 유형의 잔재와 장기간 식민지배 하에서 오염된 정신문화와 훼손된 전통문화 등을 일컫는 무형의 잔재가 있습니다. 무형의 잔재 중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거나 왜곡돼 전해지고 있는 것들을 보면 삼베수의나 마을 굿 대신 일본의 신사신앙 등을 청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