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환한물소134
환한물소13423.02.03

30개월 아기 배변교육 방법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이제 소변은 변기에 잘하는데, 대변의 경우 꼭 기저귀를 채워달라고합니다.

설명은하고 억지로하고있지않고있는데, 어떻게하면 대변도 잘할수있을까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부모님들께서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은 어린이용 휴대용 변기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실제 변기크기보다 축소된 크기로 만들어져 있는 변기인데요. 이동하면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이 되어 있습니다. 영유아들 전용 변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걸 아이들에게 선물로 주신 후에 앞으로는 여기에서 "응가, 쉬야를 할거야"라고 말씀해주시고 배면 훈련을 시작하시면 되겠습니다. 아이들 수준에 맞게 동화책이나 애니메이션 영상도 활용하시며 연습시켜주시면 더욱 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첫째 배변과 관련된 동화들을 보여줌으로서 스스로 배변을 할수있다는 용기를 심어줍니다.


    둘째 놀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대소변 놓는 장면을 연출해 줌으로 나도 변기에 앉아서 배변할수 있다는것을 알게하고 아이도 흥미를갖고 자연스럽게

    참여 하도록 합니다


    첫 배변때는 유아변기를 준비하셔서 놀다가 신호가 올때 변기에 앉아 스스로 응가를 볼수 있도록 돕습니다. 당분간은 엄마가 바지도 내려주시고 함께 응가를 하는 자세를 취함(주먹을 쥐고 힘주기)등 용번후 앞에서 뒤로 잘 닦아주시고 손도 깨끗이 씻도록 도와주세요 조금만 연습한다면 좋은결과가 있을꺼예요

    화이팅!!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왜 변기에 앉아서 하기 싫은지 이유를 들어주세요

    그리고 대변을 하지 않을 때에도 5분 정도 앉는 것을 연습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변에 대해서 아이에게 알려주고 교육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직접보여주거나

    책을 읽어보거나 하면서 꾸준히 배변훈련을 시켜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3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옷을 입은 상태에서 어린이용 변기에 앉혀 두어 아이가 변기에 익숙하도록 해주세요. 이것을 일주일 정도 하루에 한두 번씩 약 5분간씩 시행해주세요. 가능하면 장 운동이 활발할 시간(식사 후)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기에 앉게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사실 응가가 기저귀를 싫어한다는 식으로 의인화 해서 설명하거나

    유아도서나 미디어자료를 활용해 보세요.

    스스로 냄새나 감각에 대한 불편감을 느낄 때 적극적으로 변기 사용을 유도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가들은 의외로 변기를 무서워하고 두려워 합니다.

    변기에 앉으면 밑으로 뭔가가 뽕 하고 빠질 것 같다 라는 느낌이 든다고 하니,

    아이에게 일단 변기와 친해지는 연습을 시켜 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아이 이름과 사진을 붙여 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함께 유아용 변기를 가지고 재미있게 놀이를 해보세요. 아이에게 변기와 더 친숙해지도록 만들어줘야 합니다.

    변기에 관련된 색칠 놀이나 변기가 나오는 동화, 변을 변기에 보는 캐릭터들이 나오는 영상을 보는 것도 좋습니다.

    기저귀를 한 상태로 변기에서 변을 보도록 해보세요. 천천히 시도 하세요. 우선은 기저귀를 한 상태에서 변을 보게 되면 아이도 찜찜함을 느낄 것입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떼려고 시도할 때 그때 기저귀를 벗기는 시도를 해보세요.

    기저귀에 안녕을 고하는 인사할 시간을 주세요. 기저귀를 가끔가다가 벗겨두고 변기에 앉혀보도록 시도해보세요.

    아이에게 변기에 앉아서 변을 보아야 함을 꾸준히 반복해서 알려주시구요, 너무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진행하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