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카프카의 변신이란 작품에서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의 변신이 가족과의 관계에 미친 영향의 대한 어떤 해석이 가능한가요?

이 작품은 인간 소외와 가족 간의 갈등을 다양한 시각에서 다루고 있어서 작품을 읽는 독자가 각자의 경험을 투영해서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잖아요. 그래서 어떤 해석을 하시는 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그레고르는 자신의 몸이 벌레로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을 위해 일하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으나 그의 몸이 점점 벌레로 고정됨에 따라 그는 그의 자아가 점차 붕괴되어 가는 과정을 격게 되며 그의 가족은 처음에는 충격을 받지만, 점차 그를 외면하고 소외시키고 그의 어머니는 그를 인간으로서 대하려고 노력하지만, 그레고르의 모습이 그녀에게는 두려움과 혐오의 대상도 됩니다. 결국 그는 죽음에 이르게 되고 그의 죽음은 무의미하게 묘사되며, 그의 가족은 그레고르의 죽음에 대해 큰 슬픔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안도를 느끼는데 그레고르가 존재 자체가 가족에게 더 이상 의미를 지니지 않게 되었음을 상징합니다.그레고르의 죽음은 인간 존재의 허무함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질문을 남기며 독자들에게 삶의 의미에 대한 깊은 고뇌를 남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카프카의 변신은 인간의 본성에 대해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가족 내 실질적 가장이었던 그레고르 잠자가 벌레로 변해버려 아무 것도 할 수 없게 되자 엄마 외에 다른 가족들의 경우 더이상의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없는 부분에 대해 현실적인 걱정을 하지 잠자에 대한 걱정이 차선으로 밀리게 됩니다. 가족의 사랑이 감정의 냉소와 갈등으로 바뀝니다.

    카프카의 변신은 그레고르 잠자만이 벌레로 변한 것이 아니라 가족들까지 벌레보다 못한 사람으로 변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레고르 잠자는 그렇게 자아가 쇠퇴하가면서도 고통스러운 변신과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결국에 잠자는 죽음에 이르게 되고 아이러니 하게도 가족들은 그의 죽음에 슬픔보다는 안도를 찾은 듯 합니다.

    카프카의 변신은 자본주의의 폐해로 인한 인간소외의 문제를 다루는 작품입니다. 전통적인 소규모의 가족공동체 속에서 희생과 기여를 해오던 그레고르 잠자가 벌레로 바뀌는 순간 자본주의에 빠져 가족 구성원조차 자본주의 논리를 실익을 따지는 벌레만도 못한 숨겨둔 진실이 드러나게 됩니다. 잠깐 울었다는 가족들의 눈물은 그레고르 잠자를 잃었다는 눈물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이제 어떻게 뭐 먹고 살지 하는 현실에 대한 걱정과 그 동안 벌레로 변해버린 잠자를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 고민을 털어버리는 안도의 눈물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F. Kafka는 정말 위대한 작품들을 많이 쏟아냈는데, 그의 실존주의적이고 창의적인 독창성에 기반한 작품들은 정말 대단하며, Die Verwandlung의 경우도 한가지 해석만이 가능한 그런 것이 아닌 질문자분의 말씀처럼 읽는 독자에 따라, 또한 같은 독자라도 읽을때마다 그 해석과 분석이 달라질수 있겠습니다.

    일단 전통적인 해석으로 가족들 속의 주인공인 잠자가 갑자기 자기가 가족구성원내에서 하고 있던 능력이 상실 (사업이 망함, 혹은 실업상태가 됨..) 되는 "변신"을 겪었을 때 얼마나 처한 환경과 그 나의 위치가 변모하는지, 를 묘사했다고도 할수 있겠습니다만, 오히려 가족 자체가 이미 상징적인 요소이고, 한 인간의 실존이 주위환경과의 유기적인 상호관계에 의해서 정립되는데, 그 인간의 실존적 성질이 상실되어 주위환경과의 상호관계가 실종되면 과연 그 존재자체가 의미가 있는지 혹은 존재자체가 성립하는지에 대한 고차원적인 철학적 고찰로 이해될수도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모든 해석은 Open-thinking으로 열려있어서 다양하게 계속적으로 신이론이 나올수도 있겠고, 그렇게 사고할수 있도록 독자들을 이끄는 이러한 천재적인 결과물의 작품을 만들어냈다는 것이 Kafka의 진정한 천재성이 아닌가하고 판단할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