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공급에서 정의하는 화폐는 무엇인가요?
화폐공급량에 대해서 분석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 회폐에는 은행이 정기적금으로 장기간 보관하고 있는 현금성 자산이나 유가증권이 포함되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공급에서 말하는 ‘화폐’는 단순한 현금뿐 아니라 경제 내에서 실제로 거래나 지불 수단으로 사용 가능한 자산의 총량을 의미해요.
한국은행은 화폐공급을 M1, M2, M3 등 여러 단계로 구분해서 정의해요.
M1은 현금과 요구불예금처럼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자산, M2는 M1에 정기예금, 적금, 금융채 등 단기 금융상품까지 포함해요.
하지만 장기 정기예금이나 유가증권처럼 유동성이 낮거나 직접적인 지불 수단이 아닌 자산은 일반적으로 화폐공급에 포함되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구체적으로는 M1 협의의 통화와 M2 광의의 통화로 나줘지게 됩니다.
M1은 현금과 요구불예금으로 바로바로 쓸 수 있는 돈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지폐, 동전, 당좌예금, 수시입출금 예금이며
M2는 저축성예금, 정기예금으로 M1보다는 더 넓은 개념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화폐 공급 중에서 화폐의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화폐란 특정 시점에 대중이 보유하고 있는
총 화폐량을 화폐로 보게 됩니다.
주로 현금, 은행 예금 등이 포함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 공급량 분석할때 은행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 유가증권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현금과 은행 지급 준비금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 공급량에서 정의하는 화폐는 주로 현금(지폐와 동전)과 요구불예금(당좌예금 등) 등 거래에 즉시 사용 가능한 자산을 의미합니다. 유가증권(주식, 채권 등)은 일반적으로 화폐 공급량에 포함되지 않으며, 유가증권은 현금과 달리 유동성이나 신용정도에 따라 변동성이 크고 즉시 결제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과 요구불예금, 정기예금은 통화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유가증권은 통화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공급에서 말하는 '화폐'는 단순히 지폐와 동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 내에서 즉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자산을 포괄합니다. 대표적으로 현금, 언제든 인출할 수 있는 요구불예금, 그리고 수시로 입출금 가능한 저축성 예금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런 자산들을 협의통화(M1)라고 부릅니다.
광의통화(M2)에는 M1에 더해 유동성이 높은 정기예금, 정기적금 등 만기가 짧은 금융상품까지 포함됩니다. 반면, 만기가 2년 이상인 장기 정기적금이나 정기예금, 유가증권 등은 유동성이 낮아 M2에는 포함되지 않고, 대신 금융기관유동성(Lf)이나 광의유동성(L)과 같은 더 넓은 지표에 반영됩니다.
다시 말해, 은행에 장기간 예치된 정기적금, 만기가 긴 예금, 그리고 유가증권 등은 일반적으로 화폐공급량(M1, M2)에 포함되지 않으며, 충분한 유동성을 갖추지 못해 '화폐'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화폐공급 분석에서는 주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자산, 즉 유동성이 높은 자산만을 화폐로 인정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공급량에서 화폐의 범위(기준)은 은행이 보관하고 있는 현금성 자산을 포함해서 실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통화량을 의미합니다. 가장 유동성이 높은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당좌예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