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눅한 튀김이 맛이 없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튀김을 먹을 때 실제 맛은 차이가 크게 나는 것 같지가 않은데 바삭한 튀김과 눅눅한 튀김에는 느끼기에는 큰 치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맛의 차이를 크게 느끼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인가요?
눅눅한 튀김이 맛이 없게 느껴지는 이유는 식감과 촉각이 음식의 맛을 인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바삭한 튀김은 씹을 때 경쾌한 소리와 가벼운 질감을 주어 긍정적인 감각 자극을 유발하지만, 눅눅한 튀김은 기름과 수분이 섞여 무거운 느낌을 주고 기대했던 식감과 어긋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바삭한 튀김은 기름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눅눅한 튀김은 기름이 내부로 스며들어 느끼함이 강조되면서 맛이 덜하게 느껴질 수 있다.
맛이란 단순히 미각으로만 느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맛은 단순히 미각뿐만 아니라 후각, 촉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의 결합입니다.
바삭한 튀김은 입안에서 부서지는 질감과 함께 경쾌한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감각은 뇌에 즐거운 자극을 주어 맛을 더욱 풍부하게 느끼도록 합니다. 반면 눅눅한 튀김은 씹는 즐거움을 감소시키고, 기름진 느낌을 강조하여 맛을 느끼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또한 바삭한 튀김은 뜨거운 기름에 의해 튀겨지면서 음식의 향이 더욱 강하게 휘발됩니다. 이 향은 맛을 더욱 풍부하게 느끼도록 만들죠. 반면 눅눅한 튀김은 상대적으로 향이 약하고, 맛의 풍미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물론 과학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튀김의 바삭거림은 재료 안의 수분이 뜨거운 기름과 만나 증발하면서 만들어지는 다공질 구조 때문입니다. 그러나 눅눅한 튀김은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수분과 기름을 흡수하여 느끼함이 강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맛은 음식자체의 맛도 중요하지만 먹을때 느껴지는 식감도 맛의 일부분으로 작용을 합니다 튀김이 바삭한 식감은 같은 맛의 튀김이라도 더 맛있게 느껴질수 있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