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호기로운참매209
호기로운참매20923.07.08

고양이는 왜 혀가 밋밋하지않을까요

나이
1
성별
암컷
몸무게
6
반려동물 종류
고양이
품종
코숏
중성화 수술
없음

안녕하세요 .

보통 강아지를볼때에는 혀가 밋밋하여서 핥을때에도 고양이처럼 털을 핥을티때도있는데 고양이는 왜 혀가 바늘모양처럼되어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고양잇과 동물들은 혀에 가시처럼 돌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설이 제기되는데

    1) 청결을 중요시하는 고양잇과 동물의 특성 상 털에 묻은 이물을 걸러내고, 그루밍을 하기 위해서

    2) 육식동물인 고양잇과 동물들은 먹이의 뼈와 살을 잘 발라내어 먹기 위해서

    라고 주장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09

    안녕하세요. 박예신 수의사입니다.여러 가지 동물들을 연구해보면은 뭔가 동물들이 특이한 상황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양이의 혀도 마찬가지입니다 혀 돌기가 꺼끄꺼끌하게 되어 있고 하는 것은 조물주가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습니다 고양이 의 맞는 혀의 구조 때문에 고양이가 그루밍도 잘 할 수 있고 또 그루밍을 하더라도 헤어볼을 토해 낸다는 것은 얼마나 신기한 일입니까 굉장히 놀라운 일이지요 알맞게 정확하게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 놀라운 사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왜 고양이 혀가 그렇게 구조가 되어 있느냐 하고 물으신다면 고양이가 생활하는데 가장 적합하게 하기 위한 조물주의 선물이라고 생각합니다 혀의 구조가 그렇지 아니하면 그 로밍을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혀의 구조가 그렇기 때문에 고양이가 그루밍을 잘 할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는 강아지와 다르게 상대적으로 턱의 힘이 강하지 않습니다.

    강아지 늑대와 같은 개과는 먹이의 뼈까지 씹어먹을 정도로 강한 악력을 가졌지만 고양이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래서 뼈에 붙어 있는 고기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먹기 위해 혀에 가시가 발달하도록 진화된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는 육식동물로서 사냥감을 사냥한 후에 가죽을 벚겨내기 위해 핥을때 혀의 바늘이 좋은 도구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