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끊는데 가장 중요한 심리 기법은 뭘까요?
참다가도 가장힘들다는 첫 3일째중
몸에 변화가 오는 그 순간이 너무힘듭니다.
떨리고, 불안하고, 끊으면 좋아질걸 알긴하는데 말이죠..
그런데도 그게 안되니까 작심삼일이라는 말한테 계속 지는기분입니다.
참다가도 가장힘들다는 첫 3일째중
몸에 변화가 오는 그 순간이 너무힘듭니다.
떨리고, 불안하고, 끊으면 좋아질걸 알긴하는데 말이죠..
그런데도 그게 안되니까 작심삼일이라는 말한테 계속 지는기분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문기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금연을 결심하는 사람의 95% 이상이 한달을 가지 못하고 다시 흡연을 합니다. 또한 그 중 상당수가 3일을 채 넘기지 못하고 다시 담배에 손이 가게 되지요. 의학적으로는 모르겠지만 흡연은 분명 중독이며 이는 질병으로 분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러가지 이유로 금연을 시도합니다. 그 가운데 상당수는 점차 흡연양을 줄여나가면서 절연을 한다고 하는데 이는 옳은 방법은 아니라고 봅니다. 담배 중독은 '생활중에 담배로 인하여 감수활동 육체적 활동에 장애를 갖는 것'이라고 나름대로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나 불안한 마음을 흡연으로 달랜다고 하지만 이는 잠시 잠간 니코틴이 주는 최면효과라고 보시는 것이 맞을 거예요. 오히려 긴장감이 증폭되어 업무집중이나 효율이 떨어질 것입니다.
그리고 금연을 실천하시려면 먼저 담배의 중독과 자신의 의지에 대하여 분명히 생각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금연 중에 다시 흡연을 하시는 분들은 자신의 의지가 나약하다라고 자책 내지 자학을 하시는데 이는 그렇지 않습니다. 자신의 의지보다는 담배의 중독이 더욱 강력하기 때문 일 것입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담배라는 아주 요사스러운 물질이 사람의 내면에 자리잡아 통제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내면에 있는 담배라는 것이 지배하는 의식을 스스로가 이겨내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금연을 지키기 위해서 행하라고 하는 '술자리에 참석하지 않기', '흡연욕구 발생시 사탕 등 입에 물기' 이와 같은 것들이 바로 내면에서 발생되는 담배의 무의식 중의 지배에 저항하는 방법일 것입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재민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가장좋은 방법은 작성자님께서 싫어하시는걸 대입하면 좋습니다. 참고로 전 담배를 끊을때, 제가가장 싫어하는 냄새와 담배를 피우고나면 몸속에서 나는 군내같은게 귀나 코에서 나게됩니다.
좋아하는 사람이 이 냄새를 좋아할까요?
싫어하시는걸 잘 생각해보시고 대입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구윤정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담배를 끊을 동기부여가 확실히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말 죽을 고비가 닥치면 끊기가 수월하겠지만 지금 한 개비 피우는 담배는 당장 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끊기가 힘들죠.
골초인 여자가 담배를 단번에 끊은 사례가 있습니다. 담배를 끊으면 누가 가장 행복해할지 떠올려보세요. 그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나의 모습을 보며 얼마나 행복해할지를 머릿속으로 그려보는겁니다. 자신을 제3자처럼 바라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김상운 작가님 왓칭 내용의 일부입니다. 유튜브에서 왓칭 검색해보시면 금연뿐만 아니라 좋은 자료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