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거대한향고래93
거대한향고래9323.07.31

10세 여아 성조숙증 검사 필요한가요?

요즘 주변에서 성조숙증 검사 많이 하더라고요 특히 여아 둔 부모님은요 언제 하는게 가장 좋으며 만약 이상이 있다면 어떤 치료를 받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아의 경우 만 8세 전후,남아의 경우 만 9세에 검사 및 진단을 받습니다. 자녀분에게서 2차성징의 모습이 발견되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지만 특별한 징후가 없다면 굳이 검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 아이가 여아 라면 아이가 몽우리가 나왔는지 아니면 2차 성징이 나타났는지를 살펴 보도록 하세요.

    - 가슴이 살짝 부딪쳐도 타파한다,

    - 머리 냄새, 땀냄새가 늘기 시작한다.

    - 얼굴 피지 분비 늘어나고 여드름 난다

    - 음모, 액모가 조금씩 난다

    - 갑자기 키가 1년에 7~8cm 이상씩 큰다 등이 있겠습니다.

    이상이 있다면 병원에 가서 성조숙증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요.

    - 병력 청취를 먼저 합니다. (발병시기, 진행속도, 가족력 등을 알아봅니다)

    - 진찰을 합니다. (키와 몸무게 측정 및 근육발달 정도, 이차성징의 출현 정도)

    - 방사선 검사 및 혈액검사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 검사를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아이들이 너무

    이른 시기에 2차 성징이 올수 있기 때문에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여자 아이들의 경우 비만인 경우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2차성징이 나타나게 되면 성장이 멈추게 된다고 합니다.

    치료방법으로는 지연시키는 주사나 약물 치료방법이 주된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의 원인으로는 환경 호르론, 유전적인 원인, 스트레스 등의 원인입니다.

    성조숙증을 조기에 발견하면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충분히 극복이 가능합니다.

    정부지원책은 몇 년전에도 나왔었지만 시행을 하는지는 병원에 문의를 해보셔야 할 것 같아요

    보통 성조숙증 검사는 여자 아이는 만 9세 이전, 남자 아이는 만 10세 이전에 성조숙증 치료를

    해야 건강보험이 해당이 된다고 하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 검사는 만 9세 이전에는 해보시는것이 좋을수있으며

    아이의 정수리에서 냄새가나거나 혹은 유방이 커지거나 2차성징의 징후가 두드러지게 보인다거나 하면 의심해볼필요가 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2차성징이 빠르게 보이지 않고

    정상적으로 크고 있다면 굳이 할 필요성이

    있을까 싶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조숙증의 전조증상 등을 보이지 않는 이상

    굳이 검사를 받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연령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이고 체중변화가 있거나 겨드랑이나 음모가 빨리 자라는 경우 등 몇가지 특징을 보일 때 검사해보는것이 좋습니다

    호르몬 주사나 약제로 치료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아성조숙증검사시기는

    1.초등학교3학년이전에는하는게좋음

    2.가슴 몽우리가 잡히거나 초경전 증상이나타나면 해보는게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검사는 일반적인 남자아이 사춘기 발달 시작 시기는 만 12세 이후 입니다.

    남자아이는 만 9세 이전에 이차성징이 나타나면 성조숙증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원에서 상담을 해보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