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투수의 구종중에 스플리터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투수들의 구종을 보면 대부분 직구와 슬라이더는 기본이고 커브, 포크볼, 커터, 체인지업 등을 던지는데 스플리터를 던진다는 투수는 본적이 없는듯 합니다. 메이저리그에는 꽤 본거 같은데 스플리터는 어떤 구종인가요?
야구 투수의 구종 중에서 스플리터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그립 방식은 검지와 중지를 넓게 벌려 공의 양 옆을 잡고, 엄지는 아래쪽에 위치
투구의 특징은 패스트볼처럼 날아오다가 홈 플레이트 근처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움직입을 보입니다.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고 헛스윙이나 약한 타구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스플리터는 투수가 공을 검지와 중지를 벌려 잡아 던지는 구종입니다.
포크볼과 그립은 같지만 팔꿈치나 어깨 부담이 적은 구종으로 봅니다.
사실 포크볼과 혼용해서 쓰이기도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스플리터라는 용어가 익숙하지 않은 면도 있습니다.
단순하게 말하면 비슷한 그립과 궤적을 가지는 구종에 대해서 메이저리그에서는 스플리터라고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포크볼이라고 부른다고 인지하셔도 무방합니다.
안녕하세요.
스플리터는 'split-finger fastball'의 줄임말로 손가락을 공에 벌려서 잡고 던지는 투구입니다. 공을 잡는 방식이 일반
패스트볼과 달라서 투구 후 공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움직임을 보이게 됩니다. 간단히 말해 스플리터는 빠른 공처럼
보이지만 마지막에 갑자기 아래로 푹 떨어지는 투구 구종입니다.
야구 구종 중에서 스플리터라고 하는 구종의 경우 직구가 아닌 변화구의 일종으로 체인지업 처럼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구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플리터의 경우 직구와 유사한 궤적을 그리기에 타자들에게 심리싸움을 걸 수있다는 장점이 있어、 투수들에게 긍정적인 구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의 투수들이 스플리터를 활용이 적은 것은 국내 투수들의 체격이 적어 이러한 구종을 던지기에 무리가 갈 수있기 때문입니다。
스플리터는 포크볼과 비슷한 구종으로 공을 손가락 사이에 깊게 끼우지 않고 비교적 얕게 잡아 던지는 변화구입니다. 공의 회전이 적어지면서 타자 아에서 갑자기 뚝떨어지는 듯한 궤적을 그려 헛스윙을 유도하죠. 메이저리그에서는 마사히로 다나카, 오타니 쇼헤이 등이 즐겨 쓰는 구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