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어떤 골격 구조를 가지기에 유연성이 탁월하나요?
고양이는 매우 유연한 동물인데 이건 고양이과 동물들의 공통되는 특성인가요?
고양이어 유연성은 골격의 어떤 특성 때문에 나타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고양이는 우선 다른동물과다르게
매우 유연한척추를 갖고있다고합니다.
다양한방향으로 쉽게 구부리거나 비틀수있게 만든다고합니다.
관절은 넓은범위의 운동각도가 허용되어있고
뒷다리 관절이 매우 유연하게되어있습니다.
근육섬유도 길고 힘줄도 유연해서 그렇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네, 고양이의 유연성은 고양이과 동물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입니다.
이런 고양이의 놀라운 유연성은 고양이의 골격 구조적 특징들 덕분에 가능한 것입니다.
그중 하나는 쇄골입니다. 쇄골은 사람의 어깨뼈와 흉골을 연결하는 뼈로, 팔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고양이의 경우 쇄골이 매우 작거나 아예 없어 어깨 관절의 움직임이 매우 자유롭습니다. 이 덕분에 몸을 좁은 공간에 구겨 넣거나 비틀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난 것이죠.
또 고양이의 척추는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뼈로 구성되어 있고, 각 뼈 사이의 연결 부위가 유연한데, 이는 몸을 휘거나 비틀 때 훨씬 더 큰 범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리고 고양이의 다리뼈는 가볍고 강하며, 발목 관절이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점프력을 높이고, 발을 빠르게 움직여 민첩하게 움직이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마지막으로 고양이의 발톱은 몸무게를 지탱하고, 사냥감을 잡거나 나무를 오르는 데 사용됩니다. 발톱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구조는 고양이의 발의 용도가 매우 다양해 지도록 만들었죠.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네
고양이과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유연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어요
고양이의 유연성은 유연한 척추와 넓은 관절 구조 덕분이랍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고양이는 액체설이 돌만큼 매우유연한 동물중의 하나입니다.
고양이의 유연함과 스피드는 자유로운 척추, 앞다리의 범용성을 키워주는 작은 빗장뼈(쇄골) 그리고 근육에서 나옵니다.
먼저 척추는 사람이 32~34개 반해 고양이는 52~53개에 이릅니다. 많고 자유로운 관절을 가지기 때문에 운동능력이 향상됩니다. 가끔 몸을 말도 안되는 상태로 꼬인 상태로 자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런이유도 바로 유연한 척추 적분입니다. 사냥에서도 유연하게 몸을 줄였다 늘였다 하면서 보폭을 조절, 속도를 늘립니다. 최대 3배까지 늘린다고 하네요.
두번째는 빗장뼈(쇄골)입니다. 빗장뼈는 어깨뼈와 가슴뼈를 잇는 역할을 하지만 , 이것이 축소된 형태인 고양이의것은 뼈고정이 아닌 근육연결로되어 유연하고도 빠르며 강력한 힘을 낼수 있고 좁은 틈새를 지날 수 있습니다. 요리조리 방해물을 피해 움직이는 것도 이러한 이유입니다.
모든 고양이과 동물이 고양이 정도의 유연함을 갖지는 않습니다. 근육량을 포함한 덩치의 차이가 있지만 어느정도는 유연하다고 하네요.
고양이는 척추의 뼈마디가 사람보다 더 많고 유연하게 연결되어 있어 뛰어난 유연성을 자랑합니다.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가 크고 유연성이 높아 몸을 빠르고 쉽게 구부릴 수 있습니다. 또, 고양이의 어깨뼈는 다른 동물들보다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움직임의 범위가 넓습니다. 이 유연성은 고양이과 동물들의 공통된 특성으로, 사자나 호랑이 같은 큰 고양잇과 동물들도 이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일단 고양이의 척추뼈는 꼬리뼈까지 해서 총 53개입니다. 따라서 척추뼈가 많으면 관절이 더 많고 운동 범위도 더 넓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