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인도의 시장도 중국과 비슷한 규모의 소비시장인데 인도에서의 우리나라 기업 경쟁력은 어느정도인가요?

중국이 엄청나게 많은 인구로 인해 소비 시장이 매우 큽니다

그로인해서 중국은 경제적 이득도 상당히 보고 있다고 여겨지는데

인도의 경우도 중국과 더불어 상당히 큰 소비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인도 시장에서 어느정도 경쟁력을 가지고 있나요?

인도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높은 국내기업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도에서의 우리나라 기업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표적인 기업을 보자면 LG 전자는 2024년 기준으로 백색가전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및 TV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고

    현대 자동차는 인도 내의 2위 자동차 제조사로 알려지며

    삼성 역시 TV와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주로 전자, 자동차, IT 등의 분야에서 점차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디지털 경제와 소비시장 확대로 우리나라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는 거대한 소비시장이지만 가격 경쟁과 현지화가 핵심입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분야에서, 현대,기아차는 자동차 분야에서 강세를 보입니다.

    다만 중국, 현지기업과 경쟁이 치열해 지속적 투자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인도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전자기기 시장에서, 현대자동차는 자동차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포스코 등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시장을 선점하며 좋은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 시장은 인구만 보면 중국 못지않죠. 업계에서는 자동차나 스마트폰 쪽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꽤 자리를 잡았다고 합니다. 특히 현대차랑 기아는 인도 현지에서 생산까지 하면서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가전이나 패션 같은 분야는 인도 로컬 브랜드나 다른 글로벌 기업에 밀려 고전한다는 얘기도 많습니다. 제 생각에는 인도 특유의 가격 민감성과 현지화 전략을 얼마나 잘 맞추느냐가 관건이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인도는 구매력이 중국만큼 되지 않고 소비시장이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인프라도 그렇고 제조업이나 인프라가 여전히 낙후되어있고 1인당 GDP가 매우 낮은 국가이기 때문에 구매력이 높지 않은 인구만 많은 국가일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쨋든 인도에서 인지도가 있는 국내기업은 현대자동차는 인도 승용차 시장에서 마루티 스즈키에 이어 확고한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시장점유율은 약 14-15% 수준입니다. 1996년부터 구축한 현지 생산 기반과 광범위한 판매·서비스 네트워크가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또한 현지 부품 조달률을 높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품질과 애프터서비스에서 높은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약 16-20%의 점유율로 상위 2-3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가전제품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습니다. 게임 분야에서는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가 강력하게 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규모순으로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차, 엘지전자, 롯데 순입니다.

    삼성전자는 인도 내 스마트폰 1위이며, 현대차 기아차 합산 인도 자동차 25퍼센트 내외, 엘지전자역시 가전시장 20프로 이상의 매출액을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