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아리따운호랑이225
아리따운호랑이225

무릎 통증 질문드립니다 십자인대 반월판 연골

성별
남성
나이대
31
기저질환
십자인대수술

제가 10년전쯤에 십자인대 수술을 2회정도 했고 현재 31살입니다.

허벅지 앞쪽 스트레칭을 하려고 하는데 평소보다 무릎이 뻑뻒하고 안땡겨지길래 더 힘줘서 꺾었는데

그때 무릎에 살짝 뚝 소리가 들리면서 가로로 되어있는 줄이 살짝 땡기고 아픈 느낌을 받았습니다.

평소에 걷거나 뛰거나 할때 문제 없는데 똑같은 스트레칭을 하거나 무릎을 꿇어서 압력이 가해지거나하면

그때처럼 아픈 느낌이 듭니다. 병원에 가도 의사가 어떤 얘기도 안해주고 잘 모르겠다 합니다.

어떤상태이며 어떤치료를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10년 전쯤에 무릎 십자인대 수술을 2번 받으셨고 허벅지 앞쪽에 스트레칭을 하려고 하는데 평소보다 무릎이 뻑뻑하고 안땡겨져 힘줘서 꺽었는데 무릎에서 뚝 소리가 나면서 무릎이 땡기고 아프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수술 이후 시간이 지났지만 무릎에 안정성을 주는 근육이나 인대의 기능이 완벽히 회복 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고 혹은 관절염 또는 연골의 손상일 가능성도 있고 인대나 힘줄의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작은 손상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십자인대 수술을 두 번 받으셨다면 무릎 내부 구조가 일반적인 상태와 다를 수 있으며, 현재 느끼는 통증과 뻑뻑함은 반월판 연골 손상이나 유착, 관절 내 염증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트레칭 중 "뚝" 소리가 난 후 특정 자세에서만 통증이 발생하는 것은 반월판 손상, 활액막 자극, 혹은 인대 긴장 때문일 수 있구요.

    특히, 무릎을 꿇거나 압력이 가해질 때 통증이 있다면 반월판 연골 손상을 의심할 수 있죠

    현재 증상이 지속된다면 MRI 검사를 통해 연골, 반월판, 인대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물리치료, 재활운동, 소염제 복용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추가적인 치료(프롤로테라피, 주사 치료 등)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정형외과를 방문해 MRI 촬영을 요청하고 진료 및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을 듯 해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통증으로 인해서 불편감이있고 병원에서도 제대로된 치료를받지못했다면 좀더 큰병원에서 MRI검사나 초음파검사를받아보시고 진료를받아보는것이 필요할수있습니다 동네에 있는 병원에서는 엑스레이검사정도만 할수있기때문에 정확한 무릎의 상태를 파악할수없을수있으니 되도록이면 좀더 큰병원에 방문해 검사를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에 통증과 불편함이 있을 때 반원판이나 십자 인대 부위의 재손상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외에도 무릎 주변의 인대나 근육의 긴장,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계속된다면 정형외과에서 mri촬영을 통해 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아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무릎의 통증과 관련하여 질문자분의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10년 전 십자인대 수술을 두 번 받으신 후, 지금은 무릎이 뻑뻑하고 스트레칭 시 아픔을 느끼신다고 하셨네요. 특히 무릎을 꿇거나 특정 스트레칭을 시도할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이전의 수술로 인해 무릎의 조직이 약해졌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기간이 경과하면서 관절에 추가적인 부하가 가해지고, 이것이 반복적인 자극으로 작용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경험하신 '뚝' 소리는 관절 내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는 관절 내 가스가 빠져나오는 소리일 수 있지만,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인대에 조금의 긴장이나 변형이 있을 때 흔히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과도한 스트레칭이 이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절 주변의 근육이나 인대에 미세한 손상이 있다면 반복적인 행동으로 인해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평소와 다른 통증이나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정밀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의 검사가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신다면, 무릎의 정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MRI 검사를 고려해봐야 합니다. 이러한 검사로 무릎의 내부 구조를 명확히 파악하면 더욱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힘줄, 인대, 반월판의 상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치료와 관련해서는, 우선 통증이 발생하는 특정 자세나 운동을 피하고, 무릎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근력 강화를 추천드립니다. 물리치료나 재활치료를 통해 통증 관리와 무릎의 기능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시에는 전문의와 상담하여 통증 완화와 관절 보호를 위한 추가적인 치료 방법을 찾는 것도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무릎 탄발음과 함께 통증이 있으시다면 인대 손상을 의심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냉찜질을 해주시고 무릎에 부하를 주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이나 움직임은 하시지 마시고 쉬어주시는 것이 좋으며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신다면 큰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빠른 쾌유하시길 바라며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순간적으로 몸에서 소리가 발생하여 당황하셨겠습니다. 소리 이후 불편감이 지속되고 있다면, 부상이 발생하거나 염증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을 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은데요, 별다른 소견이 없었다면 상급병원이나 관련된 진료과에 방문을 하셔서 정밀검진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