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잡스잡스
잡스잡스

왜 제사는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내는가요?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왜 제사는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내는지가 궁금합니다.

고인이신 조상님들은 어두운 밤 제사때 돌아다니시고, 낮은 누구를 위해 차례를 지내는지 궁금하네요.

귀신이라 밤에 돌아다녀도 넘어지지 않기 때문에 편해서 그런것일까요?

과학적으로는 지구의 자전 효과로 귀신이 있다면 한자리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영엉 못뵌다고 하더군요.

아무튼 제사를 왜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내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제사를 밤에 지내는 이유는 자세는 영혼을 모시는데, 조상의 영혼이 밤에 돌아온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상들이 돌아오는 시간에 맞추어 가장 늦은 밤인 자시에 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차례는 명철 아침에 조상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것입니다. 하루의 시작을 조상과 함께하고 조상에게 첫 음식을 올리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1. 제사는 왜 밤 늦게 지내나요?

    귀신은 음한 속성을 좋아하는데 대부분 빛(인공적이어도 상관없습니다)에 노출되는 것을 꺼리며, 음을 좋아하고 양을 싫어하므로 새벽 0시(밤 12시) 쯤에 나타난다 하여 사람들은 제사는 보통 새벽 0시를 기준으로 하여 밤 0시가 지나 새날이 시작되면 행합니다. 제사를 한밤중에 행하는 것은 귀신이 음도를 따르므로 고요하고 그윽한 시간에 거동하기 때문이며, 또 제사를 그날의 일과가 시작되기 전에 모든 것에 우선해서 행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2. 차례는 왜 낮에 지내나요?

    차례는 조상에게 달과 계절, 해가 바뀌고 찾아옴을 알리고, 새로 나는 음식을 먼저 올리는 의례로서 차(茶)를 올리면서 드리는 예(禮)라는 뜻으로 차례(茶禮)라고 합니다. 이때는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냅니다.​​ 따라서 차례(茶禮)는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등의 낮에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우리 나라의 명절 중에서 차례를 가장 많이 지내는 명절은 설과 추석입니다. 대개 정월초하룻날과 추석에만 지내는 것이 관례로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