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9

비가 올 때 천둥번개가 동반되는 이유와 일반비구름과 천둥번개가 있는 구름과 차이는?

보통의 비구름은 비만 오는데 천둥번개가 동반해서 오는 비가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천둥번개가 동반한 비구름이 생기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맞춤법 빌런
    맞춤법 빌런23.12.09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구름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비구름은 가장 일반적인 구름으로 비가 내리는 구름을 말합니다. 비구름은 수증기가 높은 곳에서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되고 그 안에 있는 물방울이 서로 충돌하면서 비가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천둥번개가 동반되는 비는 조금 다른 구름에서 발생합니다. 천둥번개가 있는 구름은 번개구름이라고도 불리며 높은 곳에서 응결된 수증기가 얼음 결정과 충돌하면서 전기가 발생합니다. 이 전기가 구름 안에서 충돌하면서 번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그것은 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의 크기와 수증기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비구름은 물방울의 크기가 작고 수증기의 양이 적어서 비가 내리기만 하지만 천둥번개가 있는 구름은 물방울의 크기가 크고 수증기의 양이 많아서 전기가 발생하고 번개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천둥번개가 있는 구름은 높은 곳에서 응결되기 때문에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천둥번개가 있는 비는 강한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고 번개와 천둥이 동반되어 더욱 무서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비가 오는 구름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중에서도 일반비구름과 천둥번개가 있는 구름은 물방울의 크기와 수증기의 양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비가 내리는 모습은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그 안에는 다양한 과정과 현상이 숨어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올 때 천둥번개가 동반되는 이유는 구름 속에서 전하가 분리되어 방전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구름 속에서는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서로 부딪히면서 전하를 띠게 됩니다. 구름의 위쪽은 양전하, 구름의 아래쪽은 음전하가 띠게 되며, 이러한 전하가 충분히 축적되면 전하의 차이로 인해 방전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발생하는 빛이 번개이고, 소리가 천둥입니다. 일반비구름과 천둥번개가 있는 구름의 차이는 전하의 분포에 있습니다. 일반비구름은 전하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천둥번개가 있는 구름은 전하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구름의 위쪽은 양전하가, 구름의 아래쪽은 음전하가 띠게 되며, 이러한 전하의 차이로 인해 방전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