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달은 왜 지구에서 노랗게 보이나요?

태양같은경우는 불덩어리니까 그렇다쳐도

실제로 달표면은 빛이난다거나 노랗지않지않나요?

달이 왜 지구에서 노란색으로보이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가

      아니라 태양빛을 반사하여

      보이는 천체입니다.

      달의 색깔은

      태양빛의 색깔과 달 표면의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태양은 흑체에 가까운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모든 파장의

      빛을 방출한다는 의미입니다.

      태양 표면 온도가 높기

      때문에 푸른색보다

      붉은색 파장의 빛이

      더 많이 방출됩니다.

      태양빛은 겉으로는

      노란색으로 보입니다.

      달 표면은 바위와 먼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붉은색 파장의

      빛을 더 많이 반사합니다.

      달 표면은 매우 거칠고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빛이

      산란되어 더욱 노랗게

      보입니다.

      태양빛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푸른색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됩니다.

      지구에서 보는 태양은 실제보다

      더 붉은색으로 보입니다.

      달에도 적용되어 달이 더욱

      노랗게 보이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달이 뜨거나 지는 순간에는 지구 대기를 더

      길게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푸른색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달이 더욱 붉게 보입니다.

      달 표면의 화학 성분 먼지의 양 관찰자의

      위치 등 여러 요인이 달의 색깔에

      미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달이 노랗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태양 빛은 백색광입니다. 이 빛이 달에 반사되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 때 지구의 대기를 지나게 되됩니다. 그 과정에서 파장이 짧은 푸른 계열의 빛은 파장이 짧고 진동수가 커 대기와 부딪혀 이리저리 산란 되지만, 붉은 계열의 빛은 파장이 길고 진동수가 적어 대기와 잘 부딪히지 않고 투과하여 우리눈에 들어옵니다. 그래서 달이 노르스름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불덩어리가 맞습니다. 하지만 달은 빛을 내지 않습니다. 달은 태양에서 받은 빛을 반사하여 지구에서 보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달은 밤하늘에서 태양과 반대편에 위치하면서도 밝게 보이는 것입니다.

      달이 왜 지구에서 노란색으로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달의 표면은 태양에서 받은 빛을 반사하는데 이때 빛의 파장이 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데서 노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지구의 대기광학 현상으로 인해 달의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대기광학 현상은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산란되어 다양한 색상으로 보이게 만드는 현상입니다. 이때 달의 색상도 영향을 받아 노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이 지구에서 노랗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에서 받은 빛을 반사하고 지구의 대기광학 현상에 의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지구에서 노랗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빛의 산란과 지구 대기의 영향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다양한 색깔이 섞인 백색광이지만,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붉은색과 노란색 성분이 강조됩니다. 달빛 또한 이러한 영향을 받아 지구에서 노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색깔은 모두 태양이 반사된 빛입니다. 달빛이 주황색으로 보이는 경우는 주로 초저녁이며, 하얀색으로 보이는 경우는 달이 낮에 떴을 때인데 초저녁에 지표면에 비치는 햇빛은 파장이 가장 긴 주황색이나 빨강색 광선이 대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태양빛을 반사시켜서 보게 되는 것입니다. 달에 의해 반사된 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빛이 산란되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낮에는 상대적으로 밝은 태양의 영향으로 하얀색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또 달빛이 때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은 대기의 상태가 늘 똑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기 중에는 여러 가지 티끌, 먼지 등이 존재하므로 빛은 대기 중에서 산란을 일으킵니다. 산란이 심할수록 푸른쪽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우리 눈까지 도착하지 않으므로, 노란색에서 붉은 색을 띠게 됩니다. 대기 중에 먼지가 많은 날에는 달이 붉으스름하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