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는 단순히 인구수 추정만으로 앞으로 그나라의 GDP를 전망하는데요 인구수가 그렇게 중요한가요??
4차산업혁명이 본격화되고 사람처럼 움직이는 로봇과 AI로 인해 단순한 노동은 전부 로봇과 전자동화로 대체대지 싶은데 그럼 경제 싸이클서 투자 고용 소비 이런체계서 고용이 안이뤄지는데 어떻게 총생산과 소비가 는다고 판단하는건가요?? 오히려 인구수가 많을수록 인간은 먹고살아야 하는데 정부서 먹여살리다 파산하지 싶은데 골드만삭스도 한국 gdp추청을 인구감소로 2050년 세계2위전망서 180도 입장을 바꿔 2070년 한국은 oecd중 꼴지의 경제성장율을 기록 아프리카 나이지리아한테도 역전당한다는데(나이지리아 인구가 20억을 돌파한다고예측) 저는 도저히 말이 안된다 생각하고 99.9프로 전부 중진국함정에 빠지고 인구가 gdp하고 관계성이 미래가 될수록 정비례관계가 약화되지 싶은데 어떻게들 보시나요?? 로봇이 농업 어업 축산업 제조업 다 하고 인간은 지식인 연구원 관리자만 노동시장서 필요로 할건데 대부분의 무능한 80프로의 국민이 직업도 없어 소득이 없는데 어떻게 소비를 한다는거죠??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수라는 것이 절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지하자원이 없이 순수한 인력을 바탕으로 제조업 중심으로 경제성장을 이끌어온 국가에게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출산율이 가구당 1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20년후에는 현재 인구의 1/2로 감소하게 될 수 있고 한국 사회가는 전형적인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우리나라 저출산으로 인해서 점점 인구가 감소하게 되면서 발생하게 될 가장 큰 문제점은 외수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게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70% 이상이 현재 외수시장의 성장으로 인해서인데, 이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제력 수준이 증가하여 구매력지수가 증가하더라도 절대적인 인구 수의 부족으로 인해서 내수시장을 통해서는 국내 기업들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는 곧 '내수시장의 축소'의 문제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생산을 해야하고 이 생산을 판매할 수 있는 넓은 시장 즉 인구도 많고 구매력도 높은 시장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시장은 '구매력은 갖추었으나 인구수'의 한계가 있는 상황인데 인구수 감소하게 되면 우리나라에서 판매할 수 있는 판매량은 점차 감소하게 되고 기업은 성장을 위해서 더욱 외수시장에서의 판매량을 높여야 하는 상황에 빠지게 됩니다. 즉, 앞으로 우리나라의 인구감소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 구조에 미치게 될 영향은 내수시장 비중의 축소로 심각한 경우 90%이상이 외수시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외수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발생하게 될 문제점은 '국가의 교섭력'이 크게 힘을 잃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해외 국가와 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기브 앤 테이크로'로 서로가 수출을 하면서 이익이 발생을 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인구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면 해외국가로서는 우리나라에 수출해도 이익이 발생하지 않으니 우리나라와의 관세협약을 체결하려고 하지 않으려고 하거나 혹은 '우리나라에게 큰 손실이 되는 조건'을 걸게 되더라도 체결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한 국가의 인구수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은 향후 국가의 균형있는 경제성장과 국가의 교섭력을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습니다. 유럽의 경우는 인구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국가들이 많은데 이를 'EU'라는 연합으로 묶어서 절대적 인구수를 늘렸고 이를 바탕으로 'EU'라는 집단의 목소리로 협약을 하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 특히 미국과의 협상을 동등한 입장에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EU도 개별국가로 협상을 하게 된다면 미국과의 협상에서 동등한 입장을 취하지 못하고 열세적인 입장으로 교역을 할 수 밖에 없기에 EU라는 체제가 보호막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지금처럼 인구수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면 위와 같이 결국에는 경제성장의 저하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관세 협정 또한 힘들어지게 되면서 도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한국의 경제가 나이지리아에 비해서 못살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하게 된 것이라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