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풍각쟁이
풍각쟁이

통계적 순자산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궁금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53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기혼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중산층의 평균 순자산이

6억3천만원 이상 이라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자산에는 부동산, 예금, 보험 불입금,

개인연금 불입금, 국민연금 수령금액등도

여러 종류의 자산이 있을텐데

통계적으로 순자산의 범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자료 2023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른

    순자산은

    가구의 자산 - 가구의 부채 = 순자산으로 정의 내렸으며

    가구의 자산은 금융자산(저축액,전월세보증금)+실물자산(거주주택,거주주택이외,기타실물자산)

    가구의 부채는 금융부채(담보대출,신용대출,신용카드대출,기타대출)+임대보증금 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중산층의 평균 순자산이 6억 3천만 원 이상이라는 통계는 가계금융복지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합니다.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의미하며, 자산에는 부동산(주택, 토지), 금융자산(예금, 주식, 채권 등), 보험 및 연금 가입액 등이 포함됩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가구의 순자산은 상위 20%와 하위 20% 간 큰 격차가 있습니다. 상위 20% 가구는 평균 13억 원 이상, 하위 20%는 약 1억 원 미만입니다.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가구는 대개 순자산이 3억 원에서 10억 원 사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자산 구성에서 부동산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 현금성 자산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지역, 연령, 가구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통계라고해서 하나의 기준이 있는것은 아니고 조사에 따라 다를수는 있습니다만

    보통은 주택 토지둥 부동산과 예금 주식 채권 보험 개인연금 등의 연금 금융자산 등이 모두 포람됩니다(제가 찾아본 자료상)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순자산의 범위에 대한 내용입니다.

    순자산이란 결국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재산 중에서

    부채를 제외한 것으로

    연금에 불입한 돈도 결국 자산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

    즉, 현금, 현금성 증서들, 주식, 부동산 등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