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는 이유는 뭔가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여 표면적으로는 0%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는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주된 이유는 디플레이션을 극복해 경제를 활성화하고 물가 상승을 촉진하기 위함이었는데요. 일본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자금에 마이너스 금리가 적용되면, 은행들은 돈을 예치해 두는 것보다 기업이나 가계에 대출을 해주려 하고, 이렇게 되면 자금이 실제 경제에 유입되면서 투자와 소비가 촉진되고, 경제 성장이 가능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는 이유는 경제적 목적 때문인데요.

    돈을 시중에 유통시키게 하기 위해서 마이너스 금리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금리가 높아질수록 은행에 저축하는 돈이 많아지게 되는데

    이렇게 돈이 시중에 유통되지 않고 저축만 이루어진다면 경제가 활성화되기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적용하는 것이며,

    마이너스 금리가 적용되면 기업은 돈을 은행에 오래 저축하지 않고 투자를 하게 되어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결국 마이너스 금리는 경기 활성화를 목적으로 은행들이 대출을 늘리기 위한 정책입니다.

    특히 일본이 그렇게 한 것은 각종 부양책으로도 경제가 살아니지 못하자

    극약처방의 일환으로 시작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일본은 장기적인 저성장 경제가 유지되어 왔기에 이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금리를 최대한 낮추고

      소비를 유도하기 위함이였습니다.

    • 그래서 내리다내리다 결국 마이너스금리까지 도달이 되었고 은행에 돈을 맡기면 오히려 수수료가 발생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 그 효과를 몇년간 못내다가 코로나 때 빛을 봤고 현재는 일본의 물가가 상승하고 금리도 다시 올리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 경기가 매우 침체되어 있어 시장에서 도는 돈이 없다고 한다면 금리를 마이너스로 설정하여 예금을 금융기관에 맡기면 오히려 마이너스 금리만큼 이자를 금융기관에 내야 합니다.

    시장 경기 침체를 위한 극단적인정책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했던건 잃어버린 30년 이라고 다들 알고 있던것처럼 1980년대 이후로 일본 경제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면서 시중 돈을 풀어서 경기부양에 힘을 썼던거죠

    요즘은 일본 경제가 좀 살아나서 현재 기준금리가 0.5프로이고 내년 봄까지 1프로로 올리겠다고 선언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