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따뜻한들소146
따뜻한들소146

심장 삽입형 전자기기(심박동기, 이식형 제세동기, 심장재동기화 치료)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30
기저질환
x
복용중인 약
x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심장 삽입형 전자기기( 심박동기, 이식형 제세동기, 심장재동기화 치료)에 대해서 보고있는데

이름만 다르지 결국 심부전이 오면 자극주는 기능은 똑같은거 같은데 혹시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심박동기(pacemaker) :심장 근육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심장이 규칙적이고 제시간에 박동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

이식형 제세동기(ICD: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 부정맥이 발생되면 이식형 제세동기가 스스로 전기 충격을 주어 부정맥을 없애주고 정상 리듬으로 되돌리는 기기이며 심박동기 기능도 포함

심장 재동기화 치료(CRT: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심실 근육 내부의 전기 신호 전도에 이상이 있어 심장 기능이 저하되는것을 심장의 비동기화라고 하는데 전기자극을 주어 동시에 수축할수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비동기화를 해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심장 삽입형 전자기기인 심박동기 (pacemaker), 이식형 제세동기 (ICD), 심장재동기화 치료 (CRT)는 각각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진 심장 치료 장치입니다.

      일반인 입장에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세부적인 내용은 매우 복잡하나)

      1) 심박동기 - 느리게 뛰는 부정맥 치료

      2) 제세동기 - 빠르게 뛰는 부정맥 치료

      3) 재동기화치료 - 심부전 치료

      가 되겠습니다.

      1. 심박동기 (Pacemaker):

        • 목적: 심장 박동 조절 및 조절 불능한 심장 박동 수정합니다.

        • 작동 원리: 심박동기는 심장의 정상적인 박동을 유지하고 조절합니다. 부정상적인 심장 박동 (심박동 빈도가 느리거나 빠른 경우)을 보정하고, 심장의 상부와 하부 실을 동시에 충분히 수축하게 합니다.

        • 서맥성 부정맥에서 주로 시술하게 됩니다.

      2. 이식형 제세동기 (ICD -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 목적: 급성 심장 리듬 이상에 대한 치료 및 급성 심방 세동 치료

        • 작동 원리: ICD는 위험한 심장 리듬 이상 (심방 세동 또는 난방)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제세동기를 실행하여 정상 리듬으로 복귀시킵니다.

        • 급성 심방 세동 또는 난방에 대한 치료, 급성 심정지 위험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즉 비이상적으로 빠르게 뛰는 부정맥을 정상화 하는데 사용하게 된다는 점에서 심박동기와 차이가 있습니다.

      3. 심장재동기화 치료 (CRT -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 목적: 심장 실의 동시 수축을 촉진하여 심장 기능을 향상시키고 심장 폐쇄 기능을 개선

        • 작동 원리: CRT는 심장실의 동시 수축을 위해 왼쪽심실과 오른쪽심실에 전기 자극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하여 심장 기능을 최적화하고 심장 폐쇄 기능을 향상시킵니다.

        • 심부전 에서 사용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