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혈액요소질소(BUN)수치 질문좀 할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7

건강검진 이나 공복일때 피검사하러 간 경우 BUN이 보통 10~11정도 나왔거든요 근데 어제 헌혈하러 가기전 점심 든든하게 먹고 갔는데 결과가 16이 나왔네요

식후 이정도로 변할수 있을까요?


참고로 요즘 점심만 주로 두부 치즈 계란 잡곡 오뎅 이런식으로 먹으면서 아침저녁은 안먹거나 과일 등을 먹으며 적정량의 유무산소 운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BUN은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기는 산물이며 16정도는 큰 의미가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식후에는 약간 더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루에 한끼만 먹으면 근손실이 생기고 뇌의 효율이 떨어져 작업효율 등이 떨어져서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세끼를 섭취하면서 건강 습관을 유지하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BUN은 단백질 섭취에 따라 수치가 바뀔 수 있습니다. 식사를 하는 것이 큰 영향이 있지요. 이전에도 정상이고 지금도 정상인데 증가했다고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BUN (혈중 요소 질소)은 주로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BUN 수치는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식사는 그 중 하나입니다.

      식후에는 BUN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단백질 식사를 한 후에는 더욱 그럴 수 있습니다. 두부, 치즈, 계란 등은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음식을 섭취한 후 BUN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BUN 수치는 단순히 식사 때문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요인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체액의 상태 (탈수나 과다수분 상태), 신장 기능, 간 기능, 약물 투여 등도 BUN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식후 고단백질 음식 섭취로 인해 BUN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꾸준한 건강 관리와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BUN의 경우 10-26 정도까지를 정상수치로 보기 때문에 이 범위안에서 일시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큰 이상은 없으실 것 같으며, Cr등 다른 수치까지 종합적으로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식후에 수치가 어느 정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 섭취는 BUN 수치를 높일 수 있는 요인입니다. 정상 범위 내에 수치가 있는 만큼 크게 신경 쓸 필요 없는 변화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말씀하신 BUN 수치는 정상범주 내에서의 변화이므로 특별히 의미부여를 할 수 없는 수치라 볼 수 있겠습니다.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