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먹장어와 칠성장어는 어류에요 아니에요?

먹장어와 칠성장어는 원구류라는 척삭동물인데 누구는 무악어류라 하고 누구는 어류도 척추동물도 아니라고 합니다. 고생대 살던 코노돈트와 사촌지간이라는데 얘네들은 물고기와 척추동물이 맞나요?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황정웅 전문가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칠성장어와 먹장어는 몸 구조 때문에 분류에서도 약간씩의 논란이 있는 생물들입니다.(특히 먹장어)

    분류는 계-문-강-목-과-속-종 순으로 내려오며

    각 그룹에 아문, 하문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

    코노돈트와는 서로 다른 '강'에 속해 서로 유연관계는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칠성장어와 먹장어는 척삭동물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척추동물은 척삭동물의 그룹 안에 속합니다. (척삭동물이 더 넓은 그룹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척삭동물문 - 척추동물 아문) > 그래서 분류학상으 척추동물이면 척삭동물문에도 속합니다

    척삭동물은 발생시에 척삭이 형성되는 동물을 말합니다.

    이후 척추를 형성하는 종도 형성하지 않는 종도 있습니다.

    칠성장어는 척추가 명확히 발견되어 척추동물로 분류하지만

    먹장어의 경우 (척삭은 있지만) 척추뼈 발견이 되지 않아 분류학상 논란이 있습니다.

    하지만 먹장어는 칠성장어와 해부학적으로도 유전적으로도 유사성이 있어 칠성장어와 같이 원구류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둘 다 척추동물아문에 속합니다.

    -

    무악류(무악강)는 턱이 없는 동물을 말합니다.

    척삭동물문-척추동물아문-무악강-원구류 순으로 내려옵니다.

    그래서 원구류는 무악류에 속하는 그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먹장어와 칠성장어 모두 원구류에 속합니다.

    -

    어류, 물고기는 기준이 명확한 범주는 아닙니다.

    그래서 엄격하게 정의하는 사람들은 먹장어나 칠성장어 같은 원구류를 어류와 구분짓기도 합니다.

    -결국 척삭동물O, 척추동물O, 무악류O, 원구류O, 어류(O, X) 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먹장어와 칠성장어는 엄밀히 말하면 어류가 아니며, 척추동물에도 속하지 않는 원구류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척추 대신 연골성 축을 가지며, 턱이 없는 무악류에 속합니다. 고생대의 코노돈트는 먹장어나 칠성장어와 유사한 원시 척삭동물로, 이들 또한 어류나 척추동물로 보긴 어렵지만 초기 척삭동물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먹장어와 칠성장어는 어류와 척추동물의 개념에서 벗어난 원시적 동물군으로 이해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알아본 바에 의하면 먹장어와 칠성장어는 원구류(agnathans)에 속하는 동물로, 전통적인 의미의 어류와는 구별됩니다. 이들은 척삭동물의 한 그룹인 원구류에 속하며, 대부분 뼈가 없는 특징을 가져 현대의 경골어류나 연골어류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합니다. 과거 고생대의 코노돈트와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은 비록 척추동물이지만 일반적인 어류(뼈가 있는 물고기)와는 달라서 정확히 말하면 '어류'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먹장어 그리고 칠성장어 둘 다 참어류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지만, 어류로 분류할 수는 없습니다. 해부학적 및 진화론적 차이 때문에 턱이 없는 척추동물이라는 독특한 수생 생물 그룹에 속합니다. 감사합니다.

  • 먼저 먹장어와 칠성장어는 어류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턱이 없고, 비늘이 없으며, 아가미 구조와 척추가 어류와 다릅니다.

    하지만 척추동물은 맞습니다. 즉, 척추동물의 한 종류이지만, 어류보다 더 원시적인 무악류에 속합니다. (무악어류가 아닌 무악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