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0월 물가 상승률이 2.4프로나 상승했는데요 왜 이렇게 된건가요
정부가 특히나 신경쓰는 분야가 물가인상인것 같은데요 그런데 10월들어 우리나라
물가가 2.4프로나 상승했다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가파르게 상승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10월에 소비가 확대되면서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세가 커졌습니다.
추석연휴에 따른 소비 증가가 이유입니다. 특히 긴 연휴에 따른 해외여행, 렌트, 숙박비 등 상승이 컸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10월 물가 상승률(2.4%)은 유류세 인하 폭 축소와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석유류 가격 급등이 가장 큰 요인이었습니다.
동시에 긴 추석 연휴로 여행 및 외식 등 개인 서비스 물가 오름폭이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기상 악화로 인해 사과, 쌀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불안정하게 상승하며 장바구니 물가를 압박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유가, 서비스, 먹거리 세 가지 요인의 복합적 상승이 물가 오름세를 주도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10월 물가 상승률 2.4%는 먹거리와 유가 관련 품목이 주도했습니다. 특히 잦은 비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쌀, 사과를 포함한 농축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고, 국제유가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여기에 긴 추석 연휴로 인한 개인 서비스 가격 상승까지 더해지며 15개월만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10월 물가가 2.4% 오른 것은 농산물과 에너지 가격 상승이 주된 원인입니다
추석 이후 농수산물 가격이 오르고 국제 유가 상승이 국내 운송비와 전기 요금에 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공공요금과 외식비 인상까지 겹치면서 체감 물가가 더 크게 오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률이 2.4% 상승한 이유는 10월 긴 추석 연휴에 해외단체여행비, 승용차 임대료, 콘도 등 여행 관련 품목 물가가 상승한 영향이라는 게 데이터처의 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0월 물가 상승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시중에 민생지원금 등이 풀렸기에
물가가 오른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