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오르는데도 원화가 약세인 이유가 무척 궁금해지네요
요즘 코스피 신고가 갱신도 하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원화 약세가 계속 되고 있는데요.
이런한 현상들이 무엇을 뜻 할까요?
전문가 분들과 컬럼 시사에도 그럴수 밖에 없다는데 이분들 말씀드리 진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스피가 오르는데 원화 약세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은 미국이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요구하고 있기에
문제가 붉어지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렇기에 주가와는 다르게 노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이 오르더라도 원화가 강세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외국인 자금 유입보다 대외변수(미국금리, 무역수지 적자, 지정학적 리스크 등)가 더 큰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즉, 코스피와 원화가치는 별개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가 오르는것은 기업에 대한 가치에 대한것으로 이는 원화의 가치와 연동이 된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기업의 무역활동을 통해 받는 화폐는 보통 달러를 기준으로 받아 이를 원화로 환전하니 환율이 오르면 기업의 수익이 오르느 측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미국의 통화 정책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기조 유지, 혹은 예상보다 늦은 금리 인하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다른 국가들의 통화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비단 원화뿐 아니라 유로화, 엔화 등 다른 주요 통화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전문가들이 '원화 약세가 아니라 달러 강세'라고 말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가 오르는데 원화가 약세인 게 좀 헷갈리죠. 보통 환율은 증시랑 같은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 주식은 사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달러를 들고 나가거나 헤지 전략을 쓰는 경우가 많거든요. 제 생각에는 미국 금리 차이 영향이 여전히 커서 원화에 힘이 덜 실리는 걸로 보입니다. 사실 요즘 기업 실적이 좋아서 코스피는 오르는데 환율은 따로 놀고 있는 분위기라 투자자 입장에선 좀 답답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상승에도 원화가 약세인 이유는 대미투자의 불확실성, 외국인 투자자의 환차손 우려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국제적인 금융환경과 펀더멘탈 차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상승과 원화의 가치(약세/강세)는 크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미국 달러가 약세를 보이더라도 미국 증시는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환율 상승 부담에도 불구하고 수출 중심의 반도체나 IT 업종 국내 기업들이 벌어들일 막대한 이익에 대한 기대가 훨씬 크기 때문에 주식을 매수하여 코스피를 끌어올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