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숩숩숩
숩숩숩

뱀의 혀는 왜 갈라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

뱀의 혀를 자세히 보다보면 둥근 모양이 아니라 한 가운데가 갈라져 있는걸 볼 수가 있는데요,,,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뱀은 혀를 사용해 주변 환경의 화학 물질을 감지합니다. 갈라진 혀는 두 개의 팁을 가지고 있어, 각각의 팁이 다른 방향의 화학 물질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뱀은 더 정확하게 냄새의 출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뱀의 혀가 갈라진 이유는 냄새를 맡기 위해서입니다.

    뱀은 후각 보조 기관인 야콥슨 기관을 통해 냄새를 감지하며 이 때 혀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혀가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면 먹이의 냄새 분자들이 혀의 어느 쪽에서 먼저 감지되는지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먹잇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두갈래로 갈라진 혀는 냄새를 감지하는 표면적을 넓게 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뱀의 혀가 갈라져 있는 이유는 주위의 화학 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함입니다. 갈라진 혀의 양 끝으로 공기 중이나 물체에 있는 냄새 분자를 각각 다른 위치에서 수집해, 이를 야콥슨 기관으로 전달하여 뱀이 주변 환경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이렇게 양쪽에서 들어온 신호를 비교해 먹이의 위치나 위험을 감지하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뱀의 혀가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는 이유는 뱀의 특정 기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뱀에게는 후각 보조 기관인 야콥슨 기관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냄새를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야콥슨 기관에는 후각 신경의 말단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혀를 날름거리면서 공기중에 있는 화학물질(냄새)을 모아서 혀에 묻힌 채 야콥슨 기관에 보냅니다. 혀를 낼름거림으로서 혀를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고 밖에 있는 혀가 외부의 화학 물질(냄새의 원인)을 혀에 묻힌 후 이 화학 물질을 혀를 통해 야콥슨 기관에 전달하여 자신이 감지한 냄새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입니다. 이때 뱀은 다른 동물들에 비해 청각과 시각 능력이 약한 편이며, 시각의 경우 시력이 아주 약해서 아주 가까운 거리만 볼 수 있으며 청각은 외이는 퇴화되어서 없어졌으며 중이는 한 개의 뼈로 구성되어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다고 합니다. 즉, 시각과 청각에 의존할 수 없는 동물인 것입니다. 반면에 뱀은 후각기관이 발달해 있어 감각기관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감각이 바로 후각 즉 혀인데요, 뱀은 후각 보조 기관인 야콥슨 기관을 통해 냄새를 감지하는데 이때 혀를 이용합니다. 그런데 시력과 청력이 약한 뱀은 생존을 위해서 후각이 더 발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특히 오른쪽 왼쪽과 같은 방향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했는데 혀가 두 갈래로 갈라지게 되면서 오른쪽과 왼쪽을 쉽게 감지할 수 있게 된 것이며, 이와 함께 두 갈래로 나눠진 혀는 냄새를 감지하는 표면을 더욱 넓게 하면서 뱀의 생존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