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월 여아입니다.(언어발달)
15가지의 단어를 구사하는 것 같고. 인지능력은 ~ 가지고 와 등 어린이집에서도 다른 아이보다 인지능력은 높다고 하는데 말을 하는 것에 있어 또래에 비해 너무 낮은 것 같습니다. 카드를 보고 몇가지 동물 과일은 말하면 찾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단어들을 할 때 이거뭐예요 따라해봐 하고 말하면 따라하는것에도 잘 따라하지 않으려하구요ㅜ 미디어를 (뽀로로) 좋아하기도하고 연년생 동생이 있기에 사실 저 편하자고 아이를 방치한 것 같습니다.
지금이라도 언어 센터를 가서 아이 상태를 확인해야하는건지 .. 주변에서는 발아시점이 늦은것 같으니 지켜봐야한다고도 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전문가님께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
우리 아이의 발달과정엔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잘 듣지 못한다거나 하는 경우가 아니면 조금 다른 아이들과 다르게 성장하고 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30개월 전후에 한꺼번에 쏟아내듯 언어가 트이는 아이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상호작용이라고 봅니다.
우리 아이에게" 따라해봐 " 라는 말은 어쩌면 부담스럽고 거부감이 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해 보기 역방식을 선택하시면 어떨까요?
엄마가 먼저 읽고 따라 해 보기 보다는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그림이나 인형 장난감의 이름이 무엇인지 엄마가 진짜 궁금해서 묻는 식으로 물어 보세요.
그 사물의 이름을 알려 주면 ' 아... 피카츄 구나... 피카츄 피카츄' 라고 크고 바르게 발음을 반복해서 따라해 주세요.
이름을 알려 준 것에 대한 고마움과 칭찬을 꼭 해 주세요.
다음은 후속이 중요합니다.
다음에 엄마가 궁금한 것 있을 때 물어 보면 또 알려 줄래? 하고 의견을 묻고 동의를 얻어내는 방식으로 언어를 확장시켜나가면 얼마지나지 않아 큰 성과가 있을것입니다.
우리 아이가 가장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찾아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22개월 여아가 15개 정도의 단어를 구사하고 인지 능력이 뛰어난 편이라면, 언어 발달의 일부는 정상 범주에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또래보다 말이 느리고 새로운 단어를 따라하지 않으려는 모습이 지속된다면, 부모로서 걱정이 드는 것도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일반적으로 22개월 아이는 50~200개의 단어를 사용하고 간단한 문장을 만들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아이가 미디어에 익숙하고 연년생 동생과 함께 있다 보면 언어적 자극이 줄어들 수 있고,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면 언어 표현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언어 센터나 발달 센터에서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꾸준히 언어적 자극(책읽어주기, 아이와 대화하기, 동요듣기)을 주고 격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언어적 발달의 지연을 보인다 라고 한다면
가정에서 적절한 언어자극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에게 언어자극의 제공 방법은 매일 책을 꾸준히 읽어주는 것,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질문을 해주면서
아이가 답변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 언어적 놀이 상호작용을 매일 해주는 것 등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러한 언어자극은 꾸준히 해주면 아이의 언어적 발달은 조금씩 향상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4세가 되었을 무렵에도 언어적 발달이 미흡하고 지연을 보인다면 그때는 언어센터로 방문하여
아이의 상태를 검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마다 언어발달 성장의 차이가 있으며 여자아이들의 경우 언어발달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아이가 너무 늦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아직은 22개월이고 언어에 관심이 적은거 같으니 자연스럽게 한글과 언어에 호기심이 생길 수 있도록 가정내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하며 관심있게 지켜봐 주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하지만 혹시라도 언어를 사용하지 않으려고 몸짓이나 대화를 회피하려는 등 반응이 없을 경우 언어관련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말이 늦는 것 같아 걱정되실 수 있지만 22개월 여아가 15단어 정도 구사하고 인지능력이 또래보다 높다면 발달 속도의 차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도 걱정되시면 언어발달 평가를 받을 수 잇는 센터나 소아청소년과에서 상담을 받아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가정에서 따라 말하기, 읽기, 노래 등 언어자극 활동을 늘리는 방법을 안내받는 것이 안전하고 도움이 됩니다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