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하이hi
하이hi

정신과 약을 왜 임의로 중단하면 안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

안녕하세요

정신과 우울증 약은

신경전달물질 재흡수를 억제하는데

먹는걸 중단하면 기존 신체의 메커니즘으로 돌아와 원래 기능이 회복안되는 심각한 부작용이 없다던데

그런데 왜 정신과 약을 임의로 중단하면 안된다고 하는 건가요?

앞뒤가 안맞는거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정신과약을 먹어서 신경전달물질이나 호르몬을 일정하게 맞춰놨는데 약을 끊으면 다시 나빠지게되어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약을 중단하는 것과 임의로 갑자기 중단하는 것은 얘기가 다르긴합니다. 반동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천천히 중단해야합니다. 스프링을 눌렀던 힘을 갑자기 빼버리면 스프링이 튀어나가는 것처럼 반동이 생기는겁니다.

    이런 약이 꼭 정신과약에만 있는 것은 아니기도하고요. 천천히만 중단하신다면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 안녕하세요.

    약 복용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정신의학과에서 받은 약은 임의로 중단하면 안되겠습니다. 갑자기 중단하게 되면 반동이나 금단 현상 등이 있는 성분도 있습니다. 모든 약이 해당되는 것은 아니나, 환자가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진료후 용량 조절을 통해 약을 조절하셔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우울증 약 종류 중 일부는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막아 그 작용효과를 높여, 세로토닌 작용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우울증상의 심화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작용에 익숙해진 상태에서 약을 임의로 중단하게 되면, 그로 인해서 이전에 느끼던 우울 증상이 다시 생기며 이는 기저효과로 인해 더욱 크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즉 이러한 약 중단으로 인한 강한 반작용을 우려하여, 약을 임의로 중단치 않도록 하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정신과약들을 먹음으로서 신경전달물질의 대사를 정상화시키놨는데 약을 끊으면 다시 망가지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정신과 약은 갑자기 중단했을 때 나타나는 심각한 부작용이 많은편에 속합니다. 이미 몸이 사용할때의 감각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갑자기 단약시 극심한 우울, 짜증, 불안, 불면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의사와 상담아래 계획적으로 단약하시는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우울증이 있는 경우 신경전달물질 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부족한 경우로 이 경우에는 재흡수를 억제하여 농도를 높이는 것이 치료에 필요로 됩니다.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등의 농도를 높여 우울증, 불안 등 정신적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약물은 단기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켜 증상을 개선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뇌와 신경계의 화학적 균형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약물을 중단하면 우울증이 다시 재발할 위험이 있기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에 서서히 약물을조절해야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을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셨길 바랄께요

    평가 감사드려요 ^^ 항상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정신과 약물은 감정과 기분을 조절하는 세로토닌의 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약을 한번에 중단하면 세로토닌 농도가 조절되지 않아 급격한 감정 변화가 나타날 수 있고, 수면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약을 서서히 중단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