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헌신하는부엉이170
헌신하는부엉이170

복싱을 하다보니 턱을 그리 세게 맞지 않았는데 기절하더라고요 왜 그런걸까요?

복싱을 하다보니 턱을 그리 세게 맞지 않았는데 기절하더라고요

얼굴이나 배 같은데 더 세게 맞아도 아프긴해도 기절은 하지 않는데 턱을 잘못 맞으면 기절을 하게 되더라고요

왜 그런 걸까요? 과학적 근거가 있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턱은 명치처럼 인체에 중요한 부분입니다.

      턱에 힘을 가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뇌가 흔들리게 됩니다.

      이때 뇌진탕이 발생하여 기절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턱을 맞으면 두개골은 밀려나가지만 뇌는 관성에 의해 두개골 내부에서 마구 흔들리며 기절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턱에 가격을 당하면 두개골과 뇌막은 타격을 받은 방향으러 움직이게 됩니다.

      하지만 뇌척수액에 떠있는 뇌는 관성에 의해 두대골 보다 움직임이 작고 두개골에 부딪히게 됩니다.

      이때 뇌에 충격이 가해져 기절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절은 하는 이유는 뇌가 기절할만큼 흔들렷기 때문입니다

      턱을 잘못 맞으면 머리가 심하게 흔들려 뇌가 흔들려 기절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게 맞지 않은것 같아도 정확히 맞았기 때문에 머리에 작용한 충격이 커서 기절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목 뼈인 경추에는 피가 흐르는 과정에


      외부의 큰 충격을 받으면 뇌간과 소뇌 부분으로의


      혈액 공급이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아 생기는


      '허혈상태'가 된다고 합니다.



      여기서 허허 상태란.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 생기는 빈혈 상태라고 보시면 돼요!




      또한 뇌는 인체 장기들 중 가장 중요한 장기로


      신체에서 가장 단단한 두개골과 질긴 뇌막 그리고


      머리의 충격을 흡수해 보호해 주는 뇌척수액 등


      여러 단계의 보호를 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충격에는 비교적 안전하지만,


      충격으로 인한 뇌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바로 관성에 의한 충격에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그리하여 머리 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턱을 맞으면,


      뇌척수액에 떠있는 뇌는 관성에 의해 두개골 벽과


      부딪히게 되면서 뇌에 추격이 가해져


      기절을 한다고 합니다.



      참으로 인체에는 신기한 것들이 많은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