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에 고수는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나요?
고수가 건강에 좋다고 하던데
역류성 식도염이 있거나 위장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고수 섭취를 조심해야 하나요?
고수의 맛만 보더라도 쓴 맛이 있는데
위장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고수 섭취를 자제하거나 조심해야 하는지요?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해 보았습니다.
고수는 향이 강하면서 쓴맛이 도는 허브종류로 해독 효과가 있어 건강식품으로 분류된답니다. 그런데 역류성 식도염과 위장 기능이 약하신 분들에겐 유의하셔야 할게 있습니다.
고수는 정유 성분인 리날룰(linalool)과 시트랄(citral)이 들어있고
이런 성분이 위산 분비를 자극하고 소화관의 운동을 촉진해줍니다.
건강하신 분들에게는 소화를 돕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데, 위산 역류가 있는 분들에게는 위 내용물은 식도로 역류할 수 있어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답니다.
속쓰림이나 명치 통증, 신 트름이 있다면 고수의 강한 향, 자극 성분은 충분히 부담이 될 상황입니다.
고수의 특유의 향은 식욕을 자극하는데 역류성 식도염 환자는 과식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수를 충분히 국물에 익혀서 소량 섭취하는건 괜찮습니다.
이렇게 위산 역류, 소화불량이라면 고수는 그냥 제한하시거나 익힌 상태로 소량 시도해보세요. 증상이 가라앉고 소량씩 늘려보시면서 허용 범위를 체크해 나가시는 것이 방법이 되겠습니다.
참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고수는 채소라기 보다는 향신료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그래서, 다량 섭취하는 것은 당연히 좋지 않습니다.
다른 측면으로는
고수에 리날룰, 게라니올, 데카날 등의 정유성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유성분은 위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쓴맛과 향은 위산 분비츨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생고수를 먹는 경우 소화불량, 복부팽만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경우,
가급적 먹지 않는 것을 추천드리며,
섭취해야한다면 조금 먹고, 반드시 생으로 먹지 말고 어느 정도 익혀서 먹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