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

감기약을 먹고 나면 잠이 안오는 이유가 있나요?

나이
57
성별
여성

대부분사람들은 감기약을 먹으면 졸립다하는데 저는 감기약을 먹은날 밤에는 거의 잠을 못자는 경우가 많은데요.

체질적으로 문제가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졸린 감기약을 복용하여도 잠이 오지 않는 것은 개인차 입니다.

    예민한 경우 졸립지 않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여도 졸린 경우가 있습니다.

    감기약의 졸음은 부작용이고 해당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존재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감기약중에 항히스타민제가 들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항히스타민제가 졸리기도 하고 잠이 안오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감기약에는 비염과 코막힘에 사용하는 페니라민이라는 항히스타민제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히스타민은 뇌에서 각성효과를 가져오는데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니 졸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히스타민제 함유된 약을 먹게 되면 졸음이 발생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항히스타민제가 없거나 슈도에페드린/페닐에프린과 같은 충혈제거제/기침약을 먹는 경우라면 오히려 불면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드시는 약의 이름 말씀해주셔야 정확한 답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감기약 성분에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슈도에페드린 성분이 포함된 경우 오히려 수면을 방해할 수 있기에 이 성분에 예민한 경우에는 너무 늦은 시간에 복용은 피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일부 감기약의 경우 개인에 따라 잠이 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코막힘에 주로 사용되는 슈도에페드린 성분이 포함된 경우에 잠이 잘 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성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와 같이 졸린 증상이 나타나는 약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개인마다 약에 반응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어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체질이라기보다는 약에 반응하는 개인의 몸 상태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아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카페인성분이나 교감신경흥분 효과가 있는 약성분때문일듯해요.

    대표적으로 슈도에페드린, dl-메틸에페드린 성분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카페인이 들어있는 감기약이라면 그럴 수 있습니다. 아니면 슈도에페드린이나 메틸에페드린과 같은 교감신경 흥분제 때문일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