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좀 붉은 것 같은데 이정도 색은 혈변은 아닌가요?
사진은 변 실제 사진입미다 ㅠㅠ
좀 더럽지만 변 사진을 올려봅니다
딱히 붉은 걸 김치정도 외엔 먹은적이 없는데 변이 평소보다 붉은 것 같아요
기분탓일까요? 또 닦을 때 두번째 사진처럼 피가 묻어납니다
복통은 있긴한데 변을 보기전 후로 살살 아프다 맙니다
가스를 내보내도 좀 괜찮아져요
병원에선 과민성 대장약을 우선 먹어보자하셨어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혈변이라고 이야기할 때는 대변이 붉으스름한 것보다는 그냥 피가 보이는 경우입니다.
환자분의 경우 대변에 피는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반면 휴지에 묻은 피의 경우는 문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항문질환이 있는 경우 환자분의 경우와 같이 휴지에 피가 묻을 수 있습니다
23세 여자분이 혈변이 있다고해서 대장암이 생기는 경우가 얼마나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변의 경우는 증상이 특이적이기 때문에 진료를 꼭 받으셔야 합니다.
필요하면 검사도 해보셔야 하구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첫번째 사진만으론 혈변인지 아닌지 구분하지 못합니다. 사실 잠혈(숨어있는 혈액)까지 파악하는건 더더욱 어렵구요. 다만 두번째 휴지 사진은 혈액이 좀 묻어난거 같네요.
결론적으로 사진으로는 물론이고, 육안으로 대변을 관찰한다 해도 잠혈(숨겨진 피)은 구분할 수 없습니다. 대변의 색이나 모양은 섭취한 음식, 소화 상태, 장내 환경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음식물 찌꺼기나 색소 때문에 피처럼 보이는 경우도 많아요. 많이들 알려진 대로 철분제를 먹으면 또 흑색변이 나오기도 하구요.
따라서 대변 속에 실제로 피가 섞여 있더라도 소량이면 눈으로는 식별이 어렵고, 붉은 피가 흥건하거나, 짙은 흑색변처럼 특징적인 경우가 아닌 이상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
대변 속에 피가 섞였는지 확인하고 싶으시거나, 평소와 다른 대변 양상이 계속된다면 소화기 내과에 방문하셔서 '대변 잠혈 검사(FOBT)'나 필요 시 대장 내시경 등의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항문에서 혈액이 나온 걸수도 있기 때문에 (찢어지거나 치핵, 치열 등) 항문외과 진료도 봐보시면 좋아요
특히 소화기 건강에 대한 불안이 있거나, 배변 습관 변화, 복통,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조기에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