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지속되는 딸꾹질 멈추는법이 있을까요?
예전에는 딸꾹질이 시작되면 물을 마시던가 숨을 멈추던가 해서 딸꾹질이 금방 멈추어서 힘들지 않았는데 요즘은 딸꾹질이 시작되면 어떤 행동으로도 잘 멈추지 않아서 지칠정도로 힘이 듭니다. 약물이나 뭐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예전에는 딸꾹질이 시작되면 물을 마시던가 숨을 멈추던가 해서 딸꾹질이 금방 멈추어서 힘들지 않았는데 요즘은 딸꾹질이 시작되면 어떤 행동으로도 잘 멈추지 않아서 지칠정도로 힘이 듭니다. 약물이나 뭐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딸꾹질은 크게 지속시간에 따라 일과성 (2일 미만)과 지속성 (2일 이상)으로 분류합니다.
일과성인 경우 과식이나 과음으로 인한 위 팽창, 공기연하증, 흡연, 주위 온도 변화 등이 주된 원인이며 일과성 딸꾹질의 경우 그 자체가 질환은 아니지만,
2일 이상 딸꾹질이 멈추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 드물지만 종양이나 뇌경색, 간질환, 전해질 이상과 같은 질환이 원인일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혀를 누르거나, 숨참기, 재채기, 물 마시기와 같은 고식적 치료를 먼저 시도하며 증상이 지속될 경우 약물 요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으시다면 식사를 조금씩 나누어 하시거나 천천히 드시면서 경과를 관찰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딸꾹질로 문의주셨습니다.
딸꾹질이란 성문이 갑자기 막히면서 호흡의 흡기 근육이 수축해서 나는 소리입니다.
일반적으로 숨을 내쉬고 나서 힘을 주고 참고 있는 발살바 운동을 하면 몇시간내로 멎기도 하지만 오래 지속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중추 신경계의 염증 또는 구조적 이상이 있을 수 있고 횡격막의 종양 또는 염증, 혈관이상 등에 의한 자극을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딸꾹질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내과에 내원하셔서 진료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딸꾹질의 원인
횡격막 과 보조근육들의 밸런스가 어긋나 불수의적으로 경련이 일어나 딸꾹질이 일어나게 됩니다.
자극성있는 음식 (뜨겁거나 맵거나)등이 딸꾹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알콜, 니코틴, 온도변화 등도 딸꾹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딸꾹질을 멈추는법
일단 컵을 준비하시고,
컵에 물을 채우셔야합니다.
그다음, 허리를 숙인채로
컵의 안쪽(평소에 먹는 쪽)이 아닌 바깥쪽(평소에 먹는쪽의 반대쪽)에 입을 대고 마시면
딸꾹질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딸꾹질은 갑자기 호흡 근육들 (횡격막, 후두 등)이 수축되면서 발생합니다.
특히 횡격막이 갑자기 수축될 때 폐에 있던 공기가 나가면서 소리가 납니다.
딸꾹질은 불편하긴 하지만 건강에 이상을 주지는 않지만, 하루 이상 딸꾹질이 계속되면 다른 질환에 의해서 생긴 걸 수도 있으니 진료를 봐야 합니다.
2. 그럼 딸꾹질을 멈추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 딸꾹질을 유발하는 미주신경과 횡격막신경에 자극을 주면 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차가운 물을 빠르게 마시는 것입니다.
차가운 물을 마시면, 미주신경이 담당하는 식도가 자극돼 딸꾹질이 멈춥니다. (단, 따뜻한 물은 식도 자극이 덜해서 효과가 덜 합니다.)
또한 딸꾹질이 잦은 아이들은 물에 설탕을 타서 먹이면 어느 정도 도움이 됩니다.
2) 이외에도 혀를 잡아당기거나, 귀를 당기는 방법, 가글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눈 주변에 미주신경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눈을 손바닥으로 꾹 눌러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목젖을 건드려 구역질을 유발하거나 무릎을 당겨 가슴을 압박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일시적으로 생기는 딸꾹질은 위의 방법으로 대부분 멈추지만, ‘난치성 딸꾹질’이 계속되면, 그때는 병원을 찾아 횡격막신경이나 미주신경을 차단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