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만약 통일이 된다면 어떤 이익과 손해가 있을까요?

요즘 통일부 해체에 대한 얘기가 들리던데요.

전처럼 통일에 대한 인식이 많이 높진 않은 시대인 것 같습니다.

만약 통일이 된다면 어떤 장점과 위험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통일이 지금 시점에서 이루어 진다면 경제적인 격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우선은 우리나라가

      지금 보다 더 힘든 경제적 상황에 놓일 수 있습니다

    • 또한 양국의 이해관계가 있기 때문에 서로 하나의 리더쉽이 없는 이상 혼돈속에 빠질 수 있습니다.

    • 장점이라고 하면 그 혼돈만 넘기면 많아진 인구를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확보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에 통일이 된다면 이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분단구조의 불안정성과 비정상성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해내는 것, 안보위협을 해소해서 국가 신용등급과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여 '코리아 디스카운트‘ 완화가 있습니다.

    손실은 북한의 경제적,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또 통일 과정을 추진하는 데에는 상당한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통일이 되면 나타날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 장점으론 그 동안 천문학적으로 들던 방위비가 줄 수 있고 항구적인 평화가 담보되어 주식 시장에도 호재가 됩니다.

    단점으론 얼마간 정부의 지출이 늘 수 밖에 없는 것이 단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통일이 된다면 우선 경제적으로 여러 가치가 있습니다. 북한에 여러 인프라 투자를 하면서 건설이나 교통 산업이 활성화 될수 있습니다. 또한 관광산업이나 철도 산업도 살아날수 있습니다. 북한을 통한 중국 철송 등으로 물류 산업도 이득을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의 여전히 많은 사상이나 경제적 차이로 인해서 사회 갈등이 곳곳에서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북한 주민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수도 있어 세금이 많이 나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에는 한국에 없는 희토류 등 풍부한 지하자원이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기술과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전쟁에 대한 긴장이 해소되어 외국인 투자확대가 이루어질 수있습니다. 또한 북한의 노동력이 유입되어 한국의 국제 경쟁력이 상승하고 국제정 지위 강화가 될 수 있어 큰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북한과 한국의 경제력 차이는 극과 극인 수준으로 막대한 통일 비용이 예상되며 서로 다른 문화적 차이로 사회적 갈등과 국제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핵에 대한 문제가 국제사회에 쟁점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