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듬직한개구리90
듬직한개구리90

지문이 생기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태아 때 지문이 완성되는 걸까요?

갓 태어난 아이들도 지문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그렇다면 지문은 태아 때 완성이 되는 걸까요?

그렇다면 지문이 생기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사람마다 모두 지문이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임신 13주부터 태아에서 지문의 형성이 시작됩니다. 손가락 끝에 생겨 1차로 융선이 생성되면 이후 빈틈을 메우는 2차 융선이 생겨서 지문이 완성됩니다. 지문은 손가락 모양과 생성 속도에 따라 다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사람마다 손가락 끝에 나 있는 지문의 모양이 저마다 조금씩 다른데요, 심지어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는 물려받은 유전자는 같지만 지문이 형성되는 자궁 속에서 각기 돌연변이가 진행되기 때문이며, 굳이 확률로 따지자면 어떤 두 사람의 지문이 같을 확률은 640억분의 1이라고 합니다. 출생 전에 손가락 피부에 만들어지는 지문은 포유류 중에서도 인간과 코알라, 침팬지 등에서만 발견되는데요, 인간의 경우 지문은 태아 발달 초기에 형성됩니다. 임신 13주 무렵부터 손가락 끝에 1차 능선으로 불리는 움푹 패인 자국이 먼저 만들어지며, 이들은 3개의 주요 패턴으로 성장합니다. 겉모양이 빙빙 비틀린 형태의 곡선인 나선형, 더 길고 구부러진 패턴인 루프형, 삼각형 능선 모양의 아치형 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지문은 태아가 손가락을 움직일 때 피부와 피부 사이에 형성되는 특이한 패턴으로 형성됩니다. 태아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자꾸 움직이면 그 부위에 압력이 가해져 지문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지문은 태아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형성되어 있습니다. 태아가 태어날 때까지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움직이며 압력이 가해지면서 지문이 조각 조각 모양을 완성하게 됩니다. 

    지문이 생기는 과정은 간단하게 말하면 태아의 피부와 피부 사이의 압력으로 인해 피부가 주름지고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문의 형성은 개인마다 고유한 패턴을 가지게 되며, 이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지문은 태아가 태어나기 전에 형성되며, 태아가 10주 정도 되었을 때 지문 모양이 결정됩니다. 태아가 성장하면서 지문은 더욱 세밀해지고 완성됩니다. 따라서 태아 때부터 지문은 이미 형성되어 있지만, 출생 후에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 네, 맞습니다.

    지문은 손가락에 위치한 땀샘이 솟아 올오르면서 선 모양을 이루고 연결며 생기게 됩니다.

    이 때 손가락의 특정 부위의 땀샘이 주변에 위치한 땀샘 중 어느 것과 연결될지 알 수 없습니다. 이는 수많은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고, 더군다나 땀구멍의 분포 위치 역시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때 요인이란 태아때의 환경과 관련된 것들인데, 지문은 태아 4주쯤부터 형성이 시작되어 24주쯤 거의 완성이 되어 평생 변하지 않습니다. 즉, 지문은 자궁 내 압력, 태아의 위치, 양수의 농도 및 성분, 유전 형질 등에 영향을 받아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사람, 심지어 쌍둥이라 할지라도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태아시기에 발생을 거치면서 지문이 형성됩니다.

    지문을 형성하는 큰틀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지만

    지문 선의 종류와 간격같은 큰 틀은 유전자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세부 형태는 태아가 발생하고 있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태아의 위치나 자세 움직임 등에 의해 양수의 흐름같은 요소가 변하고 이런 차이가 결국 수많은 경우의 수를 만듭니다.

    그 결과 개개인마다 모양이 다른 지문을 가지게되며 지문이 동일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 지문은 태아 시기에 형성되며, 임신 약 10주에서 15주 사이에 완성됩니다. 지문이 생기는 과정은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층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데, 이 과정에서 태아의 움직임, 양수의 흐름, 유전적 요인 등이 결합되어 독특한 무늬가 만들어집니다. 사람마다 지문이 다른 이유는 이러한 복잡한 형성 과정 중의 여러 요인이 개개인마다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