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헌신하는듀공
헌신하는듀공

올해 9월에 미국 금리 인하가 시작된다고 하는데?

매체들에서 올해 9월에 미국 금리인하가 시작되는것이 거의 확정이라고 하는데 미국의 금리인하가 시작되면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외국 투자자들은 빠져나간다고 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금리인하가 꼭 좋은것만은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금리 인하는 주식이나 코인시장에 호재 수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그 이유는 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되고 매수세가 올라가는 것을 바탕으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이제까지 금리가 인하되었던 사례를 살펴보면 현재 경제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금리를 내려왔고 그러한 기억때문에 금리가 내리면 주식시장에 악재라고 생각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 인하를 한다고 외국인 투자자가 꼭 빠져나가는건 아닙니다 오히려 안전자산인 미국채 수익률이 낮아져서 미국채 투자하던 자금이 국내 주식시장이 저평가라 생각하면 유입이 될 확률도 많겠져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네, 금리 인하가 이루어지게 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마냥 좋은 것은 아닌 게 당장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에 소위 '거품(버블)'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수많은 투자자 피해를 야기할 수도 있기에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 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아무래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좀 더 이득을 볼 수 있는 미국 증시로 넘어가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 연준의 의사 결정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리 인하는 결국 우리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이유는 미국 금리가 인하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자금들이 미국으로 다시 몰려들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는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저금리 환경이 조성되어 기업의 투자와 소비를 촉진하고, 주식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주가 상승을 이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자산 버블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으며, 외국인 자금의 유출로 인해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즉, 금리 인하는 경기 부양에는 도움이 되지만, 자산 시장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 있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하가 국내 금융시장에 부정적으로 볼 수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컨센서스가 반영되면서 시중의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그만큼 미국 국채에 대한 수익률떨어지게 됩니다.

    이는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기준금리가 하락하지 않고 지금과 같이 유지한 상황에서 시장금리도 크게 변동이 없다면 상대적으로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메릿트가 커지게 되고 그만큼 자본이 국내의 국채시장으로 유입되는 흐름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금리인하로 인하여 미국내의 시중자금이 더 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달러가치가 하락하는 모습이 나오게 된다면 그만큼 유동성이 풀리게 되는 구조이고 달러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일때는 신흥국 시장에서 자본이 유입되기 좋은 구조이기 때문에 오히려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9월 미국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금을 이탈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미국 내 투자 수익을 줄이게 되며,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다른 국가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으로 자금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미국 금리 인하가 달러 가치를 약화시킬 수 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달러가 강세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달러 강세는 한국 자산의 상대적 가치를 낮추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한국 시장의 매력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경기 부양을 목표로 하지만, 과도한 금리 인하는 경제 불안정성이나 자산 가격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만을 단순히 고려하기보다는 글로벌 및 국내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경기 부양을 위한 유동성 공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금리 인하를 선제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유동성 공급 증가로 자산 가격 상승과 더불어 투자/소비 촉진시켜 경기를 부양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9월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과 관련된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 미국 연준의 금리 결정은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 추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9월에 금리가 인하될지, 동결될지, 아니면 추가 인상될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미국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주식 시장에서 자금을 회수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미국 금리가 인하되면 달러 가치가 하락하고 원화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있고, 이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은 환차손을 우려 국내 증시에서 자산을 빼갈수 있어요.

    추가적으로 미국 금리가 낮아지면 한국 시장의 투자 매력도 상대적으로 낮아지겠지요.

    굼리 인하는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이지만, 항상 긍정적인 효과만 가져오는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4월 금리인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경우에는 그동안 오른 주식에 대한 차익성 매물이 출회되고, 또한, 11월열리는 미국 대선에 대한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국내 주식의 매각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오히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외국인투자가 당장은 증가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역시도 곧바로 기준금리를 인하하게 될 것이라 큰 영향은 없을 것입니다.

    전체적으로는 금리 인하가 투자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